치매환자 실종 신고 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실종 예방을 위해 보건복지부 실종예방서비스 제도를 활용하면 좋다./게티이미지뱅크
치매환자 실종 신고 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실종 예방을 위해 보건복지부 실종예방서비스 제도를 활용하면 좋다./게티이미지뱅크

남인순 의원 발표 국감자료…치매환자 실종신고 연간 1만2천건

치매환자 실종신고 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치매환자 실종을 예방하기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실종예방 서비스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치매노인 실종 및 보호실태’ 자료를 분석해 지난 3일 발표했다.

경찰에 접수된 치매노인 실종신고 건수는 2015년부터 올해 8월까지 총 6만2246건이었다. 2015년 9046건에서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해 지난해 1만2479건에 달했으며, 올해는 8월까지 8413건이 접수됐다. 이 중 대부분인 6만2219건이 발견됐고, 27건이 미발견됐다.

치매센터에서 발급해주는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와 실종대응카드.
치매센터에서 발급해주는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와 실종대응카드.

 

보건복지부는 치매노인 실종 예방을 위해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발급 △배회감지기 대여 △치매체크 앱 배회감지기 서비스 △치매안심센터 지문 등 사전등록제 등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발급’은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한 60세 이상 치매환자의 개인정보를 경찰시스템과 연계하고, 고유번호가 적시된 인식표를 발급해 옷에 부착, 실종 발생 시 고유번호 조회로 신원을 확인해 가정 복귀를 지원하는 것이다. 올해 8월까지 총 14만5111건 보급한 것으로 집계됐다.

‘배회감지기 대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 중 이용을 원하는 수급자에게 GPS형 또는 매트형 배회감지기를 대여하는 것이다. 올해 8월까지 총 1만9908건 보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치매 환자들이 길을 잃고 배회할 때 위치를 추척할 수 있는 배회 감지기./사진=충남치매센터
치매 환자들이 길을 잃고 배회할 때 위치를 추척할 수 있는 배회 감지기./사진=충남치매센터

‘치매체크 앱 배회감지 서비스’는 2017년 9월부터 시행한 사업으로, 치매환자와 보호자의 스마트폰을 매칭해 실시간 치매환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올해 8월까지 치매체크 앱은 총 14만1164건의 누적 다운로드 건수를 기록하고 있다.

‘치매안심센터 지문 등 사전등록제’는 치매환자와 아동, 지적·자폐성·정신장애인의 실종에 대비해 경찰시스템에 지문, 사진, 보호자 인적사항 등 사전등록을 하는 제도이다. 치매환자는 2018년 3월부터 치매안심센터에서도 등록을 시작했다.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건수는 올해 8월까지 총 4만2092건으로 확인됐다.

남인순 의원은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 추세로 치매환자가 65세 이상 10명 중 1명 꼴로 높고, 치매환자 실종신고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며 “정부와 지자체는 치매환자 실종 예방을 위한 캠페인과 홍보를 강화하고, 치매환자와 보호자도 치매체크 앱 배회감지 서비스와 지문 사전등록제 등 정부가 제공하는 실종예방 서비스를 적극 활용해 실종을 예방하고 실종사건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히 가정에 복귀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