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여성의 유방암 발병 위험이 40대에 가장 높은 이유가 밝혀졌다.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호르몬과 유방조직 밀도 변화가 주요 원인이었다.

19일 강북삼성병원에 따르면, 류승호 헬스케어데이터센터 교수와 장유수 코호트연구센터 교수 등이 참여한 공동 연구진은 폐경 이행기 여성 4737명을 평균 7년간 관찰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여성의 유방암 발병 위험이 40대에 가장 높은 이유는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호르몬과 유방조직 밀도 변화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게티이미지뱅크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여성의 유방암 발병 위험이 40대에 가장 높은 이유는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호르몬과 유방조직 밀도 변화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게티이미지뱅크

저체중(18.5 미만), 정상 체중(18.5~22.9), 과체중(23~24.9), 비만(25 이상) 등 BMI에 따라 폐경 이행기 여성을 구분한 후 여성 호르몬과 유방 조직 밀도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통상 유방 조직 밀도가 높을수록 유방암 발생 가능성이 높다. 폐경 이행기는 생리가 없어지기 전후부터 폐경 후 약 1년까지를 의미한다.

연구 결과, 저체중 여성은 폐경 이행기 초기 여성 호르몬과 유방 조직 밀도가 일시적으로 상승했다. 반면 비만 여성은 여성 호르몬 분비가 줄고 유방 조직 밀도 역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진은 이 때문에 폐경 이행기 초기 저체중 여성의 유방암 발생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류 교수는 “한국 여성은 서구 여성보다 마른 체형이 많다”며 “이런 체형적 특성과 갱년기 초기 호르몬 변화가 겹치면서 서양 여성보다 더 이른 나이에 유방암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향후 폐경 전후 여성의 체형·호르몬 변화에 따른 맞춤형 검진과 예방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유방암은 한국 여성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2021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68.6명이 진단됐다. 연령대별로는 40대에서 환자 수가 가장 많고, 이어 50대·60대·70대·30대 순이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