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노년층의 불면증을 완화해주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가 나온 태극권. 태극권의 가장 핵심적인 권가인 태극권 37식은 람작미 '붕, 리, 제, 안'으로 사작한다.
람작미(攬雀尾)는 '붕, 리, 제, 안' 네 동작의 총칭으로, 팔뚝을 새 꼬리에 비유해 그 새 꼬리를 서로 잡음을 반복한다는 의미다. 한 바퀴 돌고, 또 돌고 계속 돌아가듯 거듭 수련할 수 있는 동작이며, 골반을 바로잡아 척추를 교정하고 심장, 폐, 소화기, 생식기, 내분비계 등 모든 부위에 효과가 있다. 또한 신경계의 이상이나 고혈압, 심장병에도 좋다.
람작미 '붕, 리, 제, 안'의 마지막 단계인 '안'을 설명한다.
태극권은 무술이다. 때리고 꺾는 동작도 있지만 그보다는 밀고 댕기는 것이 더 중요하다. '안'은 양손으로 제대로 상대를 밀어내는 공격이다. 온몸의 무게와 기운을 양손에 담아 한 순간에 기를 쏘아내듯 밖으로 밀어내는 것. 힘을 다 빼고 부드럽게 시작하지만, 한 순간 내 몸의 모든 힘을 쏘아낸다.
손으로 힘을 쓴다면, 그 힘은 한계가 있다. 손은 팔보다 약하고, 발보다 훨씬 약하고, 몸 전체의 힘과는 비교도 못할만큼 약하다. 양손을 세워 밀어갈 때 반드시 허리를 따라 움직여야 한다. 다리로 밀고 온몸으로 기운을 쏘아내야 한다.
람작미 '안'
① 람작미 '제'에 이어 양 팔을 약간 뻗으면서 오른손을 돌려 손바닥이 아래를 향하게 하며 중심을 왼쪽 다리로 옮기고 무릎을 굽혀 견고히 한다. 동시에 허리를 따라 양 팔꿈치를 굽히면서 양 옆구리 옆으로 당겨오고 양 손바닥은 세워 앞을 향하게 한다.
② 왼쪽 다리를 허리를 따라 앞을 향해 내뻗으면서 오른발 무릎을 굽혀 견고히 한다. 동시에 양 손바닥도 허리를 다라 앞을 향해 받듯하게 밀어나간다. 이때 허리와 머리끝이 수직이 되어야 한다. 양 손목은 자연스럽게 똑바로 세워야 한다.
도움말 : 대한태극권협회 이찬 명예회장
사진제공 : 이찬태극권도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