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 복어, 과메기 등 겨울 제철 생선의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노로바이러스, 자연 독소 등에 의한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섭취 시 주의를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가열조리용’ 표시 굴 반드시 익혀 먹어야

‘바다의 우유’로 불리는 굴은 맛과 영양이 풍부해 생식으로 즐겨 먹는 경우가 많지만 ‘가열조리용’, ‘익혀 먹는’ 등의 표시가 있는 굴은 반드시 익혀 먹어야 한다. 해당 표시는 노로바이러스가 확인된 해역에서 생산된 제품이기 때문이다.

‘가열조리용’, ‘익혀먹는’ 등의 표시가 있는 굴은 노로바이러스가 확인된 해역에서 생산된 제품이기 때문에 반드시 익혀 먹어야 한다. /사진제공=식품의약품안전처
‘가열조리용’, ‘익혀먹는’ 등의 표시가 있는 굴은 노로바이러스가 확인된 해역에서 생산된 제품이기 때문에 반드시 익혀 먹어야 한다. /사진제공=식품의약품안전처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12~48시간 잠복기를 거친 후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복통, 오한, 발열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통상 3일 이내에 증상이 호전되지만, 회복 후에도 환자의 구토물, 배설물로 인해 바이러스가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노로바이러스는 열에 약하기 때문에 가열조리하여 먹으면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노약자는 굴을 생식으로 섭취하기보다 굴국밥, 굴찜, 굴전 등으로 가열조리하여 먹는 것이 하다.

열에 강한 복어독 … 전문자격 갖춘 음식점이 안전

또한 겨울철이나 환절기 보양식으로 사랑받고 있는 복어는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이라는 맹독을 가지고 있어 섭취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복어는 알(난소), 내장, 껍질, 피 등에 복어독이 함유돼 있다. 어종에 따라 독을 가진 부위와 독성이 각각 달라서 복어독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먹으면 중독을 일으키거나 심한 경우에는 사망까지 이르게 된다.

복어독은 열에 강해 조리과정에서 사라지지 않는다. 복어독의 존재 여부를 관능적 평가만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복어를 일반 가정에서 조리하여 섭취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반드시 복어 조리기능사 등 전문 자격을 갖춘 음식점에서 안전하게 조리한 복어를 먹어야 한다.

꽁치나 청어를 건조해 만든 과메기는 오메가3가 풍부한 음식이지만, 산패가 잘되므로 보관에 유의해야 한다./게티이미지뱅크
꽁치나 청어를 건조해 만든 과메기는 오메가3가 풍부한 음식이지만, 산패가 잘되므로 보관에 유의해야 한다./게티이미지뱅크

산패되기 쉬운 과메기 보관에 주의

꽁치나 청어를 건조하여 만든 과메기는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고 단백질 함량이 높아 건강에 좋은 음식이지만, 가열하지 않고 먹기 때문에 신선한 제품을 구입하고 보관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

신선한 과메기는 껍질이 은색이고 살은 짙은 갈색이다. 몸체는 윤기가 흐르고 눌렀을 때 탄력이 있다. 과메기는 지질 함량이 높아 산패되기 쉬우므로 구입 후 바로 먹는 것이 가장 좋고, 남은 음식은 밀봉해 냉동 보관해야 한다.

만약 통풍 질환이 있다면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과메기에 들어 있는 퓨린 성분 때문에 증상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