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있는 피부는 건강한 젊음의 상징.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탱탱한 피부를 갖고 싶어하고, 항노화 제품들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피부의 탄력을 찾아주는 성분 중 대표적인 게 콜라겐(collagen)이다.
▶콜라겐이란 = 교원질이라고도 불리는 콜라겐은 기본적으로 동물, 특히 포유동물에서 많이 발견되는 섬유 단백질이다. 피부와 연골 등 체내의 모든 결합조직이 대부분 콜라겐이다.. 폴리펩타이드 세 분자가 서로 삼중나선으로 꼬인 밧줄과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는 콜라겐은 우리몸에서 뼈, 연골, 기저막 등을 구성한다.
콜라겐은 이론적으로는 장기간 분해되지 않지만, 노화를 비롯한 몇가지 원인으로 인해 생체 내에서 분해가 촉진된다. 자연 노화와 자외선이 대표적인 콜라겐 저해 요인. 자외선을 받으면 피부 섬유아세포가 콜라겐 합성을 멈춘다. 또한 자외선은 단백질 분해효소 MMP의 합성을 촉진해 콜라겐을 분해하고, 피부노화가 진행되면 MMP 합성량이 많아진다.
워낙 오랫동안 많은 곳에서 연구를 하고 상품화했기 때문에, 콜라겐을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로 인정받은 제품이 여럿 있다. 콜렉티브(Collective) 콜라겐펩타이드, 에이피(AP) 콜라겐 효소분해 펩타이드, 피쉬 콜라겐펩타이드, 저분자콜라겐 펩타이드NS 등이다. 이 성분이 들어있는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기능성을 인정한 제품이다.
▶콜라겐의 종류= 콜라겐의 종류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소, 돼지 콜라겐/ 피쉬 콜라겐/ 식물성 콜라겐이다. 가장 흔한 것은 동물성 콜라겐이지만, 분자량이 커서 흡수가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동물에 있는 질병이나 도축의 위생문제 등도 감안해야 한다. 해외 제품 중 벌크로 파는 콜라겐은 소 콜라겐 제품이 많다.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콜라겐 제품은 피쉬 콜라겐. 즉 생선에서 얻은 콜라겐이다. 분자량이 작아 흡수가 잘된다는 게 장점. 문제는 원료 자체의 냄새가 강해 비리기 때문에 이를 숨기기 위해 합성 첨가제가 많이 들어간다는 점과 바다의 생선들이 미세 플라스틱에 노출되기 때문에 장기 복용이 꺼려진다는 것.
그래서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식물성 콜라겐이다. 히비스커스, 카놀라 등에서 추출한 콜라겐으로, 원료 자체에 아무런 맛이 없어서 복용이 간편하고 수용성이 높아 흡수가 잘된다. 채식주의자들에게 인기있는 식물성 콜라겐 제조기술은 우리나라가 가장 앞서 있는 편이다. 또한 파이토케미컬이라고 불리는 식물의 고유화합물인 식물 영양소를 갖고 있어, 두루 건강에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직 제품이 많지 않고, 원료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동물성 콜라겐에 조금 첨가해 놓고 식물성이라고 선전하거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비타민 조합을 그렇게 광고하는 경우도 생긴다.
▶콜라겐 섭취 방법= 콜라겐은 피부의 수분 양에 관여하기 때문에 콜라겐이 풍부한 음식을 먹으면 피부 노화, 관절약화, 혈관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 경구 섭취할 경우, 아미노산으로 분해된 후 흡수되기 때문에 부족하다. 따라서 콜라겐을 제대로 보충하려면 비타민A, 비타민C, 철 등을 추가로 같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
인공적으로 콜라겐을 섭취하는 방법은 △약제 형태로 먹거나 △피부에 바르는 제품을 선택하거나 △점막에 필름 형태로 붙이는 형식이 있다. 간접적으로는 콜라겐 생성 촉진제나 분해 억제제를 첨가한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밖에도 주름 개선을 위해 콜라겐을 직접 주입하는 방법도 있는데, 수개월 후 분해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시술해야 한다.
▶콜라겐 구입 기준 3가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콜라겐을 섭취할 때는 3가지 기준을 꼼꼼히 살피고 구입해야 한다.
첫째, 식약처로부터 기능성이 입증된 콜라겐 원료인 확인해야 한다. 제품 라벨에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가 있는지 확인하면 된다. 일반식품류로 판매되는 콜라겐 제품도 많은데 가공품, 캔디류, 혼합음료 등으로 표기된다.
둘째, 식약처가 인정한 2중 기능성을 모두 갖고 있는 제품인지 확인해야 한다. 2중 기능성은 '피부 보습에 도움을 줄 수 있음'과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피부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이다. 무조건 콜라겐이 많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유용한 기능성분을 제대로 담고있는 양질의 콜라겐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인체적용시험 결과까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주름, 보습, 탄력 문제를 위해 콜라겐을 찾는다면, 그 기능에 맞는 적합한 영양성분들을 갖추고 있는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노화개선 연구가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
콜라겐 제품을 선택하는 기준을 간략히 정리하면 △어떤 원료를 쓴 제품인가 △합성첨가물을 넣었는가 △콜라겐이 몇 % 들어 있는가 △어떤 제형으로 되어 있는가 △중금속 검사 결과가 있는가 등이다.
관련기사
- 건강기능식품 vs 건강식품, 비슷한 점 다른 점
- '전립선 지킴이' 쏘팔메토의 기능과 제품 선택법
- 코로나19로 혹사되는 눈에 필요한 루테인
- 약 먹을 때 특히 주의해야 할 식품 10가지와 이유
- 국내 최초 위-관절 건강 복합기능성 원료 비즈왁스알코올
- '코로나19 시대' 추석선물의 키워드는 '건강'
- 혈관건강 '복합 기능성' 인정받은 쿠바산 폴리코사놀
- 비즈왁스알코올부터 코큐텐까지, 다양한 '항산화 건기식'
- 방광, 요도가 걱정된다면 크랜베리 먹어볼까요?
- 간에 좋은 건강기능식품은? 표고버섯ㆍ밀크시슬 추출물 등 다양
- 운동수행능력을 높여주는 건강기능식품이 있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