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SK 6자궁체부암 인식의 맞아 자궁체부암 질환 치료 정보를 담은 카드뉴스를 제작했다.

 

자궁체부암은 자궁경부암, 난소암과 함께 3 주요 부인암으로 꼽힌다. 자궁내막암이 전체의 94~98% 차지하고 나머지는 자궁육종으로 분류된다.

자궁체부암 발병률은 2002 여성 10 명당 3.9명에서 2022 15.4명으로 20 사이 4배로 증가했으며, 특히 2020년대 들어서는 3 부인암 매년 가장 많은 발생자수를 보이고 있다.

 

자궁체부암은 조기에 발견해 수술적 치료를 받는 경우 생존율이 양호하다. 하지만 ▲병기가 높을수록 ▲조직분화도가 나쁠수록 ▲자궁강 암의 위치가 하부에 있을수록 ▲자궁 경관의 침윤 정도 자궁근층의 침윤 정도가 심할수록 예후가 좋지 않다.

 

특히 진행성·재발성 자궁내막암은 1 표준치료인 백금기반 화학요법(카보플라틴+파클리탁셀, CP) 사용 전체 생존기간 중간값이 3 미만에 불과하다. 영국에서 진행된 실제처방 관찰 연구 분석자료에 따르면 2 항암화학요법(항암치료) 받은 환자의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은 1 미만에 그쳤다.

재발한 자궁내막암의 2차치료제로 승인을 받안 면역항암제 젬퍼리(성분명 도스탈리맙).  아직 건강보험 적용을 받지 못하지만 GSK의 동정적 사용 프로그램(EAP) 덕분에 국내 16개 의료기관에서 무료로 치료받을 수 있다.
재발한 자궁내막암의 2차치료제로 승인을 받안 면역항암제 젬퍼리(성분명 도스탈리맙).  아직 건강보험 적용을 받지 못하지만 GSK의 동정적 사용 프로그램(EAP) 덕분에 국내 16개 의료기관에서 무료로 치료받을 수 있다.

 

이런 가운데 등장한 면역항암제가 진행성·재발성 자궁내막암 환자들의 생존율을 개선할 있는 치료 옵션으로 제시되고 있다. GSK PD-1 저해제 젬퍼리(성분명 도스탈리맙) 2024 12 새로 진단된 진행성·재발성 자궁내막암이 있는 성인 환자에서 카보플라틴 파클리탁셀과의 병용요법으로 적응증을 승인받았다. 불일치 복구결함(dMMR) 여부와 관계없이 진행성·재발성 자궁내막암 1 치료에서 젬퍼리를 사용할 있게 것이다.

 

적응증 확대의 근거는 젬퍼리와 백금기반 화학요법(CP) 병용요법을 대조군인 위약과 백금기반 화학요법(CP) 병용요법과 비교 평가한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다기관 3 임상 RUBY 연구다.

 

암육종, 투명세포암, 장액성 자궁내막암 고위험 환자군을 비롯한 3 혹은 말기 진행성·재발성 자궁내막암 환자 494(dMMR/MSI-H 118, pMMR/MSS 376) 참여한 임상시험이다.

 

임상 결과에 따르면, 젬퍼리 CP 병용요법은 지난 20년간 진행성 또는 재발성 자궁내막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3 연구 1 치료 표준요법인 백금기반 화학요법(CP)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전체 생존율 개선을 입증했다.

 

고형암 반응평가기준(RECIST) 따른 무진행 생존율(PFS) 전체 생존율(OS) 1 평가변수로 분석한 결과, 전체 환자군에서 젬퍼리 병용요법의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은 44.6개월로 대조군(28.2개월) 대비 16.4개월 연장됐으며, 환자의 사망위험은 대조군 대비 31%(HR=0.69) 감소했다.

 

또한 젬퍼리 병용요법 투약 24개월 시점 전체 환자군의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은 대조군 대비 36%(HR=0.64) 감소했으며, 무진행 생존율은 36.1% 대조군(18.1%)보다 18% 높게 나타났다.

 

젬퍼리는 2022 12 이전 백금기반 전신 화학요법 치료 중이거나 치료 진행을 나타낸 재발성 또는 진행성 dMMR/MSI-H 자궁내막암 성인 환자의 치료제로 허가 받았으며, 2023 12 해당 적응증으로 건강보험급여를 적용 받았다.

 

이듬해인 2024 3월에는 백금기반 화학요법(CP)과의 병용요법으로 진행성 또는 재발성 dMMR/MSI-H 자궁내막암 성인 환자의 치료제로 승인됐으며, 같은 12 MMRp/MSS 종양이 있는 환자의 1 치료를 대상으로도 적응증을 추가 승인받아 자궁내막암 1·2 치료 모두에서 허가 받은 면역항암제가 됐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