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이 강해지는 여름철에는 피부 건강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 자외선 지수가 ‘매우 높음’ 수준인 날이 많아 몇십 분만 야외 활동을 해도 피부 화상을 입기 쉽다. 그런데 자외선 노출을 피해야 하는 더 큰 이유는 피부암 발병 위험 때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국내 피부암 환자 수는 2019년 2만5997명에서 2023년 3만5658명으로 4년 새 약 37% 증가했다. 피부암은 고령화와 함께 자외선에 장기간 노출된 피부 손상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국내 피부암 환자 수는 2019년 2만5997명에서 2023년 3만5658명으로 4년 새 약 37% 증가했다. 피부암은 고령화와 함께 자외선에 장기간 노출된 피부 손상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게티이미지뱅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국내 피부암 환자 수는 2019년 2만5997명에서 2023년 3만5658명으로 4년 새 약 37% 증가했다. 피부암은 고령화와 함께 자외선에 장기간 노출된 피부 손상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게티이미지뱅크

피부암은 다양한 피부 질환과 겉보기가 비슷해 자가 판단이 쉽지 않다. 흔한 검버섯이나 일광화상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피부암은 조기 발견이 치료 예후를 결정짓는 만큼 육안으로 구분하는 법을 미리 알아두고 빠르게 대처하는 게 중요하다.

피부암 예방을 위해서는 외출 시 선크림, 양산, 모자나 옷으로 자외선을 차단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자외선 노출 부위에는 2시간 이내 간격으로 자외선차단제를 반복해 바르는 게 좋다.

피부암과 검버섯, 어떻게 구분하나?

피부암은 일반적으로 점처럼 보이는 병변으로 시작되기 때문에 검버섯이나 색소침착과 혼동하기 쉽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병변의 모양·경계·색·크기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이때 참고할 수 있는 것이 바로 ‘ABCD 룰’이다.

A (Asymmetry·비대칭):점을 반으로 나눴을 때 양쪽 모양이 다르면 의심 신호다.

B (Border·경계):경계가 뚜렷하지 않고 퍼져 있으면 의심해봐야 한다.

C (Color·색깔):색이 균일하지 않고 갈색·검정·회색 등이 섞여 있다면 주의해야 한다.

D (Diameter·직경):직경이 6㎜를 넘는 경우 피부암 가능성이 있다.

피부암은 종류에 따라 모양이 다르다. 왼쪽부터 기저세포암, 편평세포암, 악성흑색종./서울대병원 제공
피부암은 종류에 따라 모양이 다르다. 왼쪽부터 기저세포암, 편평세포암, 악성흑색종./서울대병원 제공

피부암의 주요 종류와 특징

피부암은 발생 위치와 세포 종류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크게 ‘비흑색종 피부암’과 ‘악성흑색종’으로 구분된다.

비흑색종 피부암에는 기저세포암과 편평세포암이 있다. 기저세포암은 검은 점처럼 돌출되거나 중심이 함몰된 모양을 띠며, 편평세포암은 붉은 반점처럼 시작해 점차 두꺼워지고 진물이 날 수 있다.

악성흑색종은 특히 손바닥, 발바닥, 손발톱 주변에서 자주 발생하며, 가려움이나 통증이 없어 방치되기 쉽다. 기존 점이 커지거나 색이 진해지는 경우 반드시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기저세포암

- 한국인에게 가장 흔한 형태

- 얼굴, 코 주위 등 햇빛에 많이 노출되는 부위에 발생

- 검은색 또는 흑갈색 볼록한 병변, 중심부가 함몰된 형태가 특징

편평세포암

- 초기에 붉은 반점이나 각질 형태

- 시간이 지나며 병변이 두꺼워지고 진물, 궤양, 흉터로 이어짐

- 귀, 입술, 손등 등 자외선 노출 부위에서 자주 발견됨

악성흑색종

- 멜라닌 세포에서 유래된 가장 치명적인 피부암

- 손바닥·발바닥·손발톱 주변에 주로 발생

- 점처럼 보이지만 빠르게 커지고 비대칭적이며, 색이 불균일함

- 조기 발견이 어려워 전이 가능성이 높음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