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은 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비만이 암을 일으키는 것은 암세포의 지방산 산화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국립암센터 연구진이 밝혀냈다.

16일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김수열 암생물학연구부장 연구팀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이 암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원인을 밝힌 결과를 국제학술지 ‘테나로스틱스’ 5월호에 게재했다.

비만이 암을 일으키는 것은 암세포의 지방산 산화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국립암센터 연구진이 밝혀냈다.16일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김수열 암생물학연구부장 연구팀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이 암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원인을 밝힌 결과를 국제학술지 ‘테나로스틱스’ 5월호에 게재했다./게티이미지뱅크
비만이 암을 일으키는 것은 암세포의 지방산 산화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국립암센터 연구진이 밝혀냈다.16일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김수열 암생물학연구부장 연구팀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이 암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원인을 밝힌 결과를 국제학술지 ‘테나로스틱스’ 5월호에 게재했다./게티이미지뱅크

그동안 비만으로 인한 종양 성장은 렙틴이나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IGF-1) 등 염증성 호르몬 때문이라는 이론이 지배적이었다.

김수열 교수 연구팀은 암세포가 지방산에 의존해 에너지 대사를 한다는 ‘킴 효과’ 이론에 근거해 암세포 성장 원인을 밝혔다. 고지방 식이로 인한 비만 상태일 때는 암세포가 직접 지방산 산화를 통해 에너지(ATP)를 생산하고 이 에너지를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한다는 점을 증명한 것이다.

연구팀은 고탄수화물 식이가 고지방 식이보다 암세포 성장을 최대 80%까지 억제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쥐 실험을 통해 진행됐다. 연구팀은 23주간 고지방 식이를 제공한 췌장암 쥐 모델과 동일한 열량을 탄수화물로 제공받은 쥐 모델을 비교했다. 그 결과 고지방 식이 모델이 고탄수화물 식이 모델보다 체중 2배, 종양 크기 2배 이상 커지는 현상을 보였다.

지방산 산화를 유도하는 핵심 유전자 ‘SLC25A20’을 억제하면 암세포 성장이 억제됐다. 연구팀은 “SLC25A20은 암세포에 지방을 공급하는 핵심 통로로, 이를 차단하면 암이 에너지를 제대로 만들지 못하게 된다”며 “부작용이 거의 없어 새로운 항암 치료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립암센터는 김 연구부장이 대표로 있는 자회사 ‘NCC-바이오’와 SLC25A20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 신약 개발을 추진 중이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