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암병원이 전립선암에 이어 췌장암과 간암에 대한 중입자치료를 시작했다. 연세암병원은 28일 췌장암 3기 환자 김모씨(47)를 대상으로 회전형 중입자치료기 가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치료는 3주간 주당 4회씩 총 12회 진행된다.
김씨는 2021년 췌장암 3기 진단을 받았으며, 수술이 불가능한 상태로 연세암병원에서 항암치료를 시작했다. 진단 당시 종양이 복부 혈관을 둘러싸고 있어 24차례 항암치료에도 불구하고 암이 더 진행됐다.
췌장암의 5년 생존율은 10%에 불과하다. 하지만 일본 방사선의학 종합연구소(QST)에 따르면 병기가 진행돼 수술이 불가한 췌장암 환자의 경우 항암제와 중입자치료를 병행했을 때, 2년 국소제어율이 80%까지 향상됐다는 결과가 있다.
국소제어율은 치료받은 부위에서 암이 재발하지 않는 확률로 특정 부위를 타깃하는 중입자치료의 치료 성적을 알 수 있는 주요 지표다. 중입자 치료 후 5년 생존율이 56%라는 성적도 나오고 있다.
간암 3기 환자인 이모씨(73세)도 이날 중입자 치료를 받기 시작했다. 이씨에 대한 치료는 1주간 총 4회 조사로 끝난다.
2022년 간암 3기 판정을 받은 이씨는 수술 후 2023년 재발했다. 이후 수술을 한 번 더 받고 항암치료를 진행했으나 올해 다시 재발해 면역항암제를 복용하던 중 중입자치료를 받기 위해 연세암병원을 찾았다.
간암은 방사선 치료가 까다롭다. 병기가 많이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는데다 간경변 등으로 인해 방사선으로 인한 간독성 위험이 크다. 중입자치료는 정상 세포는 피하고 암세포에만 고선량 방사선을 집중 타깃하기 때문에 부작용은 적으면서 치료 효과는 높일 수 있다.
일본 군마대학병원에서 중입자치료를 받은 간암 환자의 2년 국소제어율은 92.3%에 달했다. QST의 임상연구에서는 5년 국소제어율 81%를 기록했다. 특히 종양의 크기가 4cm 이상으로 큰 경우에도 2년 국소제어율이 86.7%였고, 2년 생존율은 68.3%로 높았다.
연세암병원은 고정형 중입자치료기 1대와 회전형 중입자치료기 2대를 보유하고 있다. 중입자치료기는 탄소입자의 조사 각도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뉜다. 수평으로 고정된 각도에서 조사하는 고정형치료기는 좌측과 우측에서 입자선을 조사하기에 적절한 전립선암을 대상으로 한다.
장기가 호흡과 중력에 따라 움직이고 주변에 다른 장기가 있어 다양한 각도로 조사해야 하는 췌장암, 간암, 폐암 등에는 회전형치료기를 사용한다.
이번에 본격적으로 가동을 시작한 회전형 중입자치료기는 치료기 안에 환자가 누우면 가장 적합한 각도로 치료기가 회전해 설계된 치료계획에 따라 암세포를 타격한다. 360도 어느 각도에서도 조사가 가능해짐에 따라 해부학적 위치에 맞게 정상 장기에 대한 보호와 종양에 대한 치료 정확도를 최대화할 수 있다.
금웅섭 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는 “췌장암과 간암은 주변에 정상 장기가 많고 발견이 늦는 경우가 많아 수술이 어려운 상황이 많지만, 중입자치료는 이때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기존의 항암치료와 중입자치료를 적절히 병행해 최고의 치료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