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에서 가장 먼저 노화가 시작되는 것은 눈이다. 노안(老眼)은 노화로 인해 근접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노화의 결과인 노안이므로, 나이가 많은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눈의 노화는 아주 어린시절부터 시작해 서서히 진행되다가 40대가 넘어가면서 가까이 있는 것들이 보이지 않기 시작하고 글자를 멀리해야 읽힐 때 눈에 이상이 생겼음을 의식하게 된다. 그때부터 노안이다. 정도와 속도의 차이는 있으나 노안은 노화처럼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2030세대에서도 노안이 많이 발생한다. "설마 내가 노안?" 이렇게 생각하기 쉬워, 흔히들 백내장이나 기타 안질환으로 알고 잘못 대응하기 일쑤다. 최근 젊은층에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는 노안의 모든 것에 대해 알아보자.
노안의 원인과 증상
노안은 수정체의 조절능력이 점점 퇴화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근육의 힘과 수정체의 혼탁 정도에 따라 점점 심해지게 된다. 처음에는 잘 읽을 수 있던 신문이 팔을 쭉 뻗어야 읽을 수 있게 되고, 아예 잔글씨는 읽을 수 없게 된다.
노안은 기본적으로 40대 전후에 발생한다. 몸의 근력이 약해지듯, 눈에 있는 수정체를 지탱해 주는 근육의 힘이 약해지고 수정체 또한 혼탁해지고 딱딱해지면서 노안이 심해진다. 수정체의 조절력이 떨어져 거리의 변화에 대한 반응속도가 늦어지다 결국 한곳에 멈추게 되는 것이 노안이다.
평소 잘 보이던 신문이 멀리서 봐야 보이거나, 물체를 볼 때 습관적으로 고개를 뒤로 젖히는 동작을 하고 있다면 노안이 시작된 것으로 보고 대응해야 한다. 노안의 다른 증상으로 눈물이 말라 쉽게 건조함을 느끼게 되고, 쉽게 눈물이 나거나 자주 눈이 침침하고 흐릿해지는 등 다양하다.
2030세대도 노안이 많다?
40세 이전에 노안이 발생하면 노화로 인한 노안이 아니라, 다른 이유 때문인 것으로 봐야한다. 대표적인 이유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는 것. 작은 모니터를 지속적으로 들여다 보면 쉽게 눈이 피로해진다. 눈의 기능이 저하되고 수정체 근육이 고정된 상태에서 굳어질 수밖에 없다. 스트레스도 눈 건강을 해치는 요소로 꼽힌다.
안구 수정체는 원거리, 근거리를 볼 때 조절작용을 하면서 망막에 상이 정확하게 맺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 수정체가 피로해지고 능동적으로 변형되지 못하면 제대로 시야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노화로 인한 노안과 동일한 상태가 된다.
자외선도 젊은층 노안의 주범으로 꼽힌다. 강한 자외선은 눈 건강의 적. 특히 수정체 건강을 악화시킨다. 대표적인 강한 자외선으로는 스키장의 하얀 눈에 반사된 빛과 지나치게 많은 야외활동으로 인해 눈에 부담을 주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젊은층 노안의 주요 증상과 예방법
노인들과 달리 젊은층은 스마트폰을 지나치게 오래 사용한다. 이것이 건강에 많은 문제를 초래하는데, 특히 눈 건강에 해롭다. 젊은층 노안의 주요 증상도 문자메시지나 온라인 콘텐츠를 읽을 때 무의식적으로 스마트폰을 코앞에 갖다 붙이고 읽는 것. 그밖에, 가까운 것을 볼 때 안경 대신 맨눈으로 보는 것이 편하다거나, 물체를 멀리 들고 봐야 잘 보이고, 책이나 신문을 읽을 때 처음에는 잘 보이다가 곧 흐려지거나, 반대로 한참을 들여다 봐야 깨끗하게 보이는 등의 증상도 젊은층 노안이다.
젊은이들의 노안을 방지하는 방법은 무엇보다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 모니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업무상 꼭 필요하다면 50분 작업을 하면 5~10분 휴식을 취하며 먼 곳을 보는 노력을 해야 한다. 신문이나 작은 글씨의 책을 볼 때는 눈 깜빡이는 횟수를 늘리는 것도 좋다. 스키 등 야외활동을 할 때는 스포츠고글을 착용하는 습관을 갖는 것도 중요하다.
정기적으로 안과검진을 받는 것도 중요하다. 1년에 2회 정도는 안과를 방문해 정기 검진을 받으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 필요에 따라 돋보기 안경, 다중초점렌즈 안경 등의 방법부터 노안수술, 커스텀뷰 수술 등 비교적 간단한 수술까지 다양한 대응방법이 있다. 젊은층은 오랫동안 눈을 더 많이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노안 증상이 있으면 방치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치료해 건강한 눈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눈 건강에 좋은 식품은 푸른잎 채소와 케일, 양상추, 오렌지, 달걀 노른자, 브로콜리, 아보카도 등이 대표적이다. 오메가3지방산이 들어있는 생선이나 호두, 식물성 기름도 눈에 좋다. 루테인은 녹색잎 채소에 많이 들어있는 눈 건강을 위한 대표적 영양소로 꼽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