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을 거의 마시지 않아도 생기는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ASLD) 환자도 간암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이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간단한 비침습 검사(혈액, 영상검사처럼 통증과 위험이 거의 없는 검사)를 활용하면 고위험군을 93% 이상 정확도로 가려내 간암 조기 감시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ASLD)은 전 세계 인구의 약 30%가 앓는 흔한 질환으로, 이전에는 ‘비알코올 지방간’으로 불렸으나 당뇨·고혈압·비만 등 대사질환과의 연관성이 강조되면서 명칭이 변경되는 추세다.

술을 많이 마시지 않아도 지방간은 찾아올 수 있어 평소 관리가 필요하다./게티이미지뱅크 
술을 많이 마시지 않아도 지방간은 찾아올 수 있어 평소 관리가 필요하다./게티이미지뱅크 

MASLD 환자는 간경변증이 없어도 간암이 발생할 수 있어 기존 간암 감시 지침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

세브란스병원 간센터 김승업·이혜원 교수 연구팀은 홍콩중문대학교를 비롯한 미국·유럽·아시아 16개 기관과 함께 MASLD 환자의 간암 고위험군을 선별하는 2단계 비침습 평가 전략을 검증했는데, 이 결과는 국제학술지 ‘거트(Gut, IF 25.8)‘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1단계 혈액검사로 섬유화 지표(FIB-4)를 계산하고, 2단계 진동제어초음파 탄성측정법(VCTE)으로 간 경직도 측정해 간암 위험을 평가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기준을 도출했다.

▷FIB-4 3.25 이상 또는 간 경직도 20kPa 이상이면 1년 안에 간암이 생길 확률이 1%를 넘어 정기 감시 필요

▷FIB-4가 높고 간 경직도가 15kPa 이상이면 간경변증 여부와 관계없이 고위험군

▷FIB-4가 높지만 간 경직도가 낮으면 3년 내 간암 발생 확률이 0.3% 미만(감시 대상 제외)

이 전략은 ‘누가 위험군이고 누가 안전군인지’를 잘 구분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AUROC가 0.733이었고, 고위험군을 위험군으로 판정하는 정확도(양성 예측도)는 7.9%, 안전군을 정확히 안전하다고 판정하는 비율(음성 예측도)은 99.7%였다. 전체 정확도는 93%를 넘었다. 즉, 고위험군은 놓치지 않으면서도 안전군을 불필요하게 검사하는 일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뜻이다.

김승업 교수는 “간경변증 여부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현실적이고 간편한 간암 예측 전략”이라며 “기존 감시 체계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혜원 교수는 “MASLD 환자 맞춤형 감시체계 구축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정밀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