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수화물을 적게 먹는 저탄수화물 식단을 장기간 지속하면 특정 장내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해 대장암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수용성 식이섬유인 이눌린을 적절히 보충하면 저탄수화물 식단의 부정적 영향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연구팀이 최근 국제학술지 ‘네이처 마이크로바이올로지(Nature Microbiology)’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탄수화물과 수용성 섬유질이 부족한 식단이 대장 내 용종(폴립) 성장을 촉진하고 특정 대장균(이콜라이, E.coli(과 결합하면 대장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한다.
대장암은 식단, 장내 미생물군, 환경 및 유전학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토론토대학 연구팀은 대장암의 여러 요인 중 대장암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박테리아 종들이 서식하는 조건에서 일반 식단, 저탄수화물 식단, 고지방-고열량 식단의 3가지 식단이 대장암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DNA를 손상시키는 콜리박틴(colibactin) 독소를 생성하는 대장균 균주인 이콜라이 NC101에 감염된 사람이 저탄수화물 식단을 지속하면 대장암이 씨앗인 대장 용종 발생 위험이 높아졌다. 이콜라이 NC101은 대장암 환자의 60%, 장 질환 환자의 40%, 건강한 사람의 20%가 보유하고 있다.
섬유질이 부족한 저탄수화물 식단은 장의 염증을 증가시키고 미생물 군집을 변화시켜 이콜라이 NC101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이때 저탄수화물 식단은 장내 미생물과 대장 상피세포를 분리하는 점액층을 얇게 만들어, 더 많은 콜리박틴이 대장 보호막을 뚫고 대장 세포에 도달해 용종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성 장 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이콜라이 NC101 보유 확률이 높아 저탄수화물 식단을 따를 경우 대장암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연구팀은 저탄수화물 식단에 수용성 식이섬유인 이눌린을 보충하면 발암성 대장균 수치가 낮아지고 종양과 DNA 손상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저탄수화물, 저식이섬유 식단은 체중 감량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장기간 유지할 시 잠재적 위험이 있다”며 “앞으로 어떤 종류의 섬유질이 더 유익한지 파악하기 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