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수술 시 유두를 보전하는 방식에 따라 감각 회복 정도가 달라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유방 아래 주름을 따라 절개하면 유륜 주변 방사형으로 절개하는 것보다 감각 회복에 더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유방외과 정준·국윤원 교수팀은 이같은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을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유방암 수술 시 유두를 보전하는 방식에 따라 감각 회복 정도가 달라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유방 아래 주름을 따라 절개하면 유륜 주변 방사형으로 절개하는 것보다 감각 회복에 더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unsplash
유방암 수술 시 유두를 보전하는 방식에 따라 감각 회복 정도가 달라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유방 아래 주름을 따라 절개하면 유륜 주변 방사형으로 절개하는 것보다 감각 회복에 더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unsplash

연구진은 지난 2019년 10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강남세브란스병원 유방 외과에서 유두 보존 유방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97명을 최종 연구 대상군으로 선정했다. 97명 중 65명은 유방 아래 주름을 따라 절개했으며 32명은 유륜 주변을 방사형으로 절개했다.

그리고 유두-유륜 복합체 감각 회복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바늘 통각 검사)를 시행했다. 유두와 유륜을 5개 구역으로 나눠 구역마다 통각이 느껴지는 정도를 3점 리커트 척도로 표현하도록 했다. 총 10점 만점 중 3점 미만이면 유두-유륜 복합체 감각 상실로 처리했다.

유방암 수술시 절개 부위에 따라 감각 회복 정도가 달라진다는 연구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강남세브란스병원 제공
유방암 수술시 절개 부위에 따라 감각 회복 정도가 달라진다는 연구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강남세브란스병원 제공

그 결과, 유방 아래 주름을 절개한 환자 그룹의 감각 회복 평균 점수는 3.77±3.11점으로, 유륜 주위를 방사형으로 절개한 환자그룹(2.47±2.51점)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P=0.043). 감각 상실 확률은 유륜 주위 방사형 절개 환자그룹이 유방 아래 주름 절개 환자 그룹의 1.69배였다.

총점 3점 미만인 감각 상실의 경우 유륜 주위 방사형 절개 환자그룹은 62.5%인 반면 유방 아래 주름 절개 환자 그룹은 36.9%였다.

정 교수는 “이번 논문은 유두 보존 유방절제술을 시행할 때 적용하는 방식에 따라 유두-유륜 복합체 감각 회복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유방암 치료와 재발 방지라는 근본적인 치료 목적에 더하여 치료 이후 환자 만족도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