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의 만성질환으로 여겨졌던 당뇨병 환자의 연령대가 20~30대로 낮아지고 있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인슐린 분비 기능이 떨어져 체내 혈당 관리가 되지 않는 병이다. 혈액 내 포도당이 높아져 소변으로 당이 배출된다고 해서 당뇨병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10일 대한당뇨병학회가 '세계 당뇨병의 날’(11월 14일)을 앞두고 공개한 '당뇨병 팩트시트 2024'에 따르면 국내 1939세 청년 인구의 2.2%인 30만8000명이 당뇨병 환자로 추산됐다. 이 중 30대 환자가 22만8000명, 20대 환자가 8만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의 만성질환으로 여겨졌던 당뇨병 환자의 연령대가 20~30대로 낮아지고 있다. 10일 대한당뇨병학회가 '세계 당뇨병의 날’(11월 14일)을 앞두고 공개한 '당뇨병 팩트시트 2024'에 따르면 국내 19∼39세 청년 인구의 2.2%인 30만8000명이 당뇨병 환자로 추산됐다. 이 중 30대 환자가 22만8000명, 20대 환자가 8만명인 것으로 나타났다./게티이미지뱅크
중장년의 만성질환으로 여겨졌던 당뇨병 환자의 연령대가 20~30대로 낮아지고 있다. 10일 대한당뇨병학회가 '세계 당뇨병의 날’(11월 14일)을 앞두고 공개한 '당뇨병 팩트시트 2024'에 따르면 국내 19∼39세 청년 인구의 2.2%인 30만8000명이 당뇨병 환자로 추산됐다. 이 중 30대 환자가 22만8000명, 20대 환자가 8만명인 것으로 나타났다./게티이미지뱅크

20∼30대 청년의 당뇨병 전단계 유병률은 21.8%였다. 당뇨병은 아니지만 공복 혈당수치가 건강 수준보다 높은 청년이 303만명이라는 의미다. 특히 30대 남성의 37%가 당뇨병 전단계 상태였다.

하지만 병원에서 정식으로 당뇨병을 진단받는 비율은 43.3%, 당뇨병 약물을 처방받은 비율은 34.6%에 불과했다.

당뇨병을 적절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뇌졸중, 심근경색증, 만성 콩팥병, 망막병증 등 다양한 합병증이 생겨 환자 삶의 질이 크게 낮아지고 사회경제적 부담도 커진다.

하지만 중장년층에게 주로 나타나는 병으로 알려져 있다 보니 20∼30대는 관리를 제대로 안 하는 경우가 많다. 당뇨병은 완치가 쉽지 않고 평생 관리해야 하는 질병으로 꼽히기 때문에 발병 전부터 관리하고 진단 후에는 악화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당뇨병은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어 알아채기 어려울 수 있으니 가족력이 있는 20세 이상 성인은 매년 당뇨병 선별검사를 받는 게 좋다. 일반인은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2년마다 1회 혈당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체중 관리, 운동, 금연, 절주, 균형 잡힌 식사 등이 당뇨병 예방과 혈당 관리에 도움이 되므로 평소 건강한 생활 습관을 지키는 게 좋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