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코박터(파일로리)균 감염으로 인한 위궤양이 치매 위험을 3배로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의대 정신건강의학과 서울성모병원 강동우 교수(제1저자), 여의도성모병원 뇌건강센터 임현국 교수(교신저자)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연구한 결과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노화학회 공식 학술지인 '제로사이언스(Geroscience)' 최근호에 게재됐다.
헬리코박터균은 소화성궤양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균으로 위와 십이지장 점막에 서식한다. 혈관 뇌장벽을 통과하여 뇌내 신경염증을 유발하고,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병리인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의 침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헬리코박터 감염 소화성궤양은 신경세포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하고 장내세균총(마이크로바이옴)에 변화를 일으켜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55~79세 4만7628명을 대상으로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여부에 따른 치매 발병 위험도를 연령 분포 별로 평가했다. 그 결과 소화성궤양 환자는 치매 발병 위험도가 약 3배 가량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령별 세부분석 결과 60대와 70대의 연령 분포에서 특히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치매의 발병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헬리코박터균 제균치료 시기와 치매 위험도의 관련성을 평가했다. 위궤양 진단 6개월 이내에 제균치료를 시작한 조기 제균치료 군과 1년 이후에 제균치료를 시작한 지연 제균치료 군을 5년, 10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제균 치료가 지연된 군은 적시에 제균치료가 시작된 군과 비교하여 치매 발병 위험도가 2배 이상으로 높아졌다.
강동우 교수는 “발효 음식이나 매운 맛을 즐기는 한국의 전통적인 식습관이 위점막을 자극해 헬리코박터균 감염을 높일 수 있으며, 장 건강 뿐 아닌 뇌 건강을 위해 조기 진단과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임현국 교수는 ”위장관 건강과 신경 건강의 상호작용의 이해를 통해 치매 예방과 치료 전략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