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원장 서홍관)와 사회적기업 ㈜박피디와황배우는 국립암센터를 이용하는 암환자와 가족을 위한 비응급 병원동행 비스 ‘함께가는 병원’을 11월8일까지 운영한다.

‘함께가는 병원’ 서비스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돌봄이 필요한 암환자의 국립암센터 이용을 돕는 서비스로, 국립암센터의 전문교육을 받은 동행 매니저가 집에서 병원까지 이동할 때 동행 ▷병원 접수 및 수납 ▷ 진료 및 검사 ▷약국 방문 수령 등을 돕는다.

국립암센터(원장 서홍관)와 사회적기업 ㈜박피디와황배우는 국립암센터를 이용하는 암환자와 가족을 위한 비응급 병원동행 비스 ‘함께가는 병원’을 11월8일까지 운영한다. 지난 8월 '함께가는 병원' 개소식 장면./국립암센터 제공
국립암센터(원장 서홍관)와 사회적기업 ㈜박피디와황배우는 국립암센터를 이용하는 암환자와 가족을 위한 비응급 병원동행 비스 ‘함께가는 병원’을 11월8일까지 운영한다. 지난 8월 '함께가는 병원' 개소식 장면./국립암센터 제공

‘함께가는 병원’ 이용료는 경기도사회적경제원 사업비로 지원되기 때문에, 암환자와 가족이 따로 지불해야 할 비용은 없다. 다만 1인당 2회까지만 이용할 수 있으며, 예산이 조기 소진될 경우 이용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박피디와황배우는 암 생존자 창업 사회적기업으로, 20여명의 동행 매니저는 암을 겪은 암 생존자다. 이 서비스는 암 생존자의 일자리 창출과 암 환자 돌봄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서홍관 원장은 “암을 극복한 동행 매니저가 암을 겪고 있는 환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타 의료기관의 서비스와 차별화돼 있다”라며 “이번 사업으로 1인 가구와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암 환자까지 지원하는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비스 관련 정보는 ‘함께가는 병원’ 홈페이지와 SNS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국립암센터의 ‘함께가는 병원’ 홍보 부스에서도 상담할 수 있다.

국립암센터 이외 동행도 신청할 수 있는데, 지역은 경기도 고양시, 파주시, 김포시만 가능하다. 서비스 가능 시간은 월~금요일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며 주말과 공휴일은 이용할 수 없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