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병원 의료진이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 관리를 위한 '스마트 암케어 2.0' 플랫폼을 개발했다.

9일 울산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옥민수 교수(예방의학과)와 고수진 교수(혈액종양내과) 등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지난해 스마트 암케어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환자 본인이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증상을 즉시 의료진에게 공유할 수 있다. 의료진은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증세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다.

울산대병원 고수진 혈액종양내과 교수(왼쪽)와 옥민수 예방의학과 교수.
울산대병원 고수진 혈액종양내과 교수(왼쪽)와 옥민수 예방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이번에 외과, 방사선 종양학과 교수진과 협업해 더욱 향상된 '스마트 암케어 2.0'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번 시스템은 수술, 방사선 치료, 재활 등 다양한 치료방식에서 부작용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 건강 행태 개선과 복지 서비스 연계 등 포괄적인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개선됐다.

스마트 암케어 2.0 타당성 평가 결과, 유용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번 시스템이 환자 입장에서 학습과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의료 종사자 입장에서 환자 개인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옥 교수는 "스마트 암케어 2.0 플랫폼은 암 환자의 퇴원 후 관리 시스템에서 중점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다양한 헬스케어 기관과 협업해 시스템 경험을 축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 논문은 대한암학회지에 4월9일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