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성 간암에 대한 면역항암치료가 간 기능 보존에 유리하여 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에 효과가 확인된 표준 치료법은 면역항암제인 아테졸리주맙(티쎈트릭)과 표적항암제 베바시주맙(아바스틴)을 함께 쓰는 병용요법으로, 이 연구는 국내 첫 대규모 다기관 임상연구다.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병용요법은 현재 절제 불가능한 진행성 간암 환자의 1차 치료로 권고되고 있다. 그러나 30% 내외의 일부 환자에서만 효과가 확인되고 장기이식, 자가면역질환, 출혈 위험도가 높은 환자에서는 사용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렌바티닙 치료 역시 현재 사용될 수 있는 1차 항암 치료법이나, 그 동안 두 치료 효과를 비교하는 결과가 상반되어 논란이 있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성필수(교신저자)·한지원(제1저자) 교수팀이 서울성모병원 등 가톨릭중앙의료원 8개병원에서 진행성 간암 환자 346명을 치료 효과를 분석했다. 346명 중 169명은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병용요법으로, 177명은 렌바티닙 단독요법으로 치료했다.
분석 결과,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병용요법 그룹이 렌바티닙 치료 그룹에 비해 전반적인 생존율(OS)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생존율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세부 분석을 시행한 결과, 각 치료가 질병의 진행이나 부작용으로 인해 중단되었을 때,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치료가 간 기능을 더 잘 보존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1차 치료 중단 이후 후속 치료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지원 교수는 “간암은 하나의 종양에서도 부위에 따라 이질적인 특성을 갖고 있고 면역 반응 자체도 한정되어 있으며, 환자의 간기능이나 임상적인 특징들도 매우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환자에게 최적의 예후를 가져다줄 수 있는 약제를 선택하는 것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 이라고 말했다.
성필수 교수는 “간암환자 다수가 만성 간염이나 간경화를 동반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이미 간 기능이 저하된 상태로 치료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간 기능이 보존되는 치료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종양학 분야 국제학술지 ‘첨단 종양학(Frontiers in Onc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