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등 의대교수 단체 등이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집단휴진에 동참키로 한 가운데 김성주 한국중증질환연합회 대표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이 왔다갔다하는 현안에 대해 왜 정치권이 전부 입을 다물고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17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지난 4개월간 얼마나 많은 시간과 기회를 버린 것인가. 환자들의 고통과 희생보다 더 중요한 민생이 있느냐”고 말했다.
식도암 4기 투병 중인 김 대표는 “현재 논의되는 특검 이상으로 ‘의료공백’ 사태는 민생과 직결된 사안이기에 정치권이 해결을 위해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학병원 교수들의 무기한 휴진 선언에 대해서는 “(지휘자가) 오케스트라를 그만두고 나가겠다는 것과 똑같다. 환자들 입장에서는 엄청난 공포와 고통”이라며 “(오케스트라에서 바이올린 하나 빠지는 것과 같은) 전공의 파업과 완전히 다른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중증질환자들은 후유증, 부작용을 비롯해 방사선 치료, 수술 등의 과정에 다학제 치료를 받는데 이를 총괄하는 교수들이 휴진하는 것은 공포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의대교수들이 휴진을 선언하며 중증 희귀질환 치료를 차질 없이 진료할 것이라고 밝힌 것에 대해서는 “믿을 수 없다”고 했다.
그는 ‘비상체제를 통해 중증 질환자들이 큰 문제 없이 잘 버티고 있다’는 정부와 의료계 측 입장에 대해서도 사실이 아니라는 취지로 말했다.
김 대표는 “지난 4월, 5월에 걸쳐 췌장암 환우들을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정상 진료를 받는 이들은 30% 정도였고 70% 이상은 비정상 진료를 받고 있었다”며 “중증 암 환자들은 치료 시기나 방법이 굉장히 중요한데 (중증질환자에 대한 비상체제가 잘 적용되고 있다는) 그런 것들이 지금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했다.
의협은 지난 16일 의대증원 재논의 등 내용을 담은 ‘3대 대정부 요구안’을 집단휴진 철회 조건으로 제시했다가 정부가 거부하자 오는 18일 집단휴진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강남센터 교수 529명도 이날부터 전면 휴진에 참여한다. 연세대 의대는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돌입하며 울산대 의대와 가톨릭대 의대 등은 향후 무기한 휴진을 논의한다.
성균관대 의대 교수 비대위는 지난 15일 소속 병원인 삼성서울병원·강북삼성병원·삼성창원병원 교수들의 무기한 휴진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고 밝힌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