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질환 환자단체가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가는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들에게 공개 토론을 제안했다. 교수들은 휴진에도 중증 환자의 진료에는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는 현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지난 14일 입장문에서 “중증질환연합회와 서울대 비대위가 환자 대 의사로 기자들 앞에서 공동 토론회를 열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가 최근 조사한 결과를 보면 암 환자 67%가 진료 거부를 경험했고, 51%는 치료가 지연되고 있다고 답변했다.

서울대병원 전경./서울대병원 제공
서울대병원 전경./서울대병원 제공

연합회는 “환자 주요 피해 사례로는 입원 취소, 전원 종용, 수술 취소 가능성 통보, 응급실 진료 거부 등이 있다”고 전했다. 연합회는 또 “의료계 갈등에 따른 환자의 피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것인데, 교수님들은 중증, 응급 환자들은 문제없게 한다는 포장된 발표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회는 전공의들에 대해 “무책임한 태도로 인해 환자들이 혼선과 불편을 겪고 있다”며 “전공의들은 환자와 국민을 위해 책임감 있게 행동해야 하고, 환자 중심의 의료 실현을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회는 의정 양측이 합의점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의협과 전공의 단체는 분란만 일으키지 말고 정부와 협상 창구를 빨리 만들어서 내부 분열을 해소하고 정부와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등 92개 단체도 지난 13일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집단휴진과 무기한 휴진 결의의 철회를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의료공백 기간을 어떻게든 버티며 적응했던 환자들에게 의료진의 연이은 집단휴진, 무기한 휴진 결의는 절망적인 소식”이라며 “환자들은 이제 각자도생(生)을 넘어 ‘각자도사(死)’의 사지로 내몰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