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종양내과 서재홍 교수팀이 HER2(사람 상피세포 증식인자 수용체2) 양성 유방암 표적치료제 내성을 막는 억제제(HVH-2930)를 발굴, 효과를 입증했다.
전체 유방암 환자의 20%를 차지하는 HER2 양성 유방암은 진행 속도가 빠르고 공격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최근 HER2를 표적으로 한 표적항암제가 효과를 발휘하고 있지만 내성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표적항암제 내성에 관여하는 HSP90은 약물 내성, 암 증식 및 전이에 관여하는 200여개 종양 단백질 안정화와 활성화를 조절하는 샤페론으로, 정상세포 대비 암세포에서 발현이 높다.
현재까지 HSP90을 저해하는 18개 약물이 암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에 들어갔지만 독성 및 열충격 반응 등의 문제 때문에 아직 승인을 받지 못하고 있다.
서재홍 교수 연구팀은 기존에 시도됐던 HSP90의 N-말단을 억제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접근으로 HSP90의 C-말단을 억제하는 저분자 물질인 HVH-2930을 개발했다.
실험실 연구에서 HVH-2930은 열충격 반응을 유도하지 않았고, 정상세포 독성을 최소화하며 HER2-양성 유방암 세포 사멸을 효과적으로 촉진했다.
표적항암제 트라스투주맙(제품명 허셉틴)에 내성을 가진 HER2 유방암 동물모델에서는 HVH-2930이 HSP90 단백질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 나아가 HER2 양성 유방암 세포와의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함으로써 유방암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HER2 양성 유방암 재발과 전이 확산을 촉진하는 암줄기세포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재발 및 전이 예방 효과까지 확인했다.
서재홍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임상시험에 실패한 HSP90 저해제 독성 및 열충격 반응 단점을 극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트라스투주맙 내성에 의해 더 이상의 치료 옵션이 없는 재발 및 4기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대안을 제공함으로써 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약리학·독성학·제약 분야 최고 권위 국제저널인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 IF 12.4)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