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환자는 암 세포 뿐만 아니라 암 전이를 막기 위해 림프절 절제 수술을 받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림프절을 절제하면 림프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팔이 붓는 림프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림프부종이 심하면 미용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신체 기능에도 영향을 줘 일상생활이 힘들어진다.
이같은 림프부종 위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검사법을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 전재용 ·성형외과 서현석 교수, 의공학연구소 천화영 박사 연구팀이 개발했다.

심전도 검사와 림프 동역학 검사 개념도./서울아산병원 제공
심전도 검사와 림프 동역학 검사 개념도./서울아산병원 제공

연구팀은 동물 실험 연구를 통해 체내 림프관으로 주입한 형광 조영제가 림프 수축과 함께 이동하는 흐름을 분석, 림프액의 정상적인 순환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림프 동역학 검사법’을 개발했다.
면역세포와 노폐물 등 림프액을 운반하는 림프관은 작은 마디로 이루어져 있는데, 마디가 일정한 주기로 수축하면서 림프액을 다음 마디로 이동시킨다.
‘림프 동역학 검사법’은 형광 림프 조영제를 체내로 주입, 림프관으로 들어간 형광 조영제가 림프관 마디 수축 시 림프액과 함께 다음 마디로 이동하는 패턴을 광학적 측정 장비로 측정하고, 심전도 검사처럼 그래프로 신호화해 나타낸다.
림프액 흐름이 정상적이라면 림프 수축 및 형광 조영제 이동 패턴 역시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겠지만, 림프액 흐름이 막혀있다면 림프 수축 및 형광 조영제 이동 패턴도 불규칙해지는 것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이 추가 연구를 거쳐 향후 실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현장에서 사용된다면, 림프부종 증상이 나타나기 전 암 수술에 의한 미세한 림프액 순환 장애까지도 미리 확인할 수 있어 빠르게 치료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 순환기 분야 가장 권위 있는 학회 중 하나인 미국심장학회의 학술지 ‘동맥경화, 혈전 및 혈관생물학(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 IF=8.7)’에 최근 게재됐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