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항암제 치료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나노소재 기반의 면역치료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이용현 이화여대 약학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것으로, 히알루론산과 빌리루빈으로 이뤄진 히알루론산-빌리루빈 나노 입자를 활용한 항암 면역치료 기술이다.
이 연구 결과는 ‘히알루론산-빌리루빈 나노의약 기반 병용화학면역요법’이라는 제목으로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
면역항암제 치료는 T세포, NK세포 등 면역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암세포와 싸우게 함으로써 암 전이와 재발을 방지한다. 암 세포는 면역관문 등의 시스템을 통해 T세포 등의 면역 기능을 막는데, 면역항암제는 이 같은 면역관문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면역관문억제제로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면역관문 억제제의 치료 효과는 전체 암환자의 10%, 흑색종의 30%에서만 나타나는 등 한계가 있다. 이는 T세포의 낮은 종양침투 정도와 종양관련 골수세포(TAMCs : Tumor-associated myeloid cells)에 의한 종양 미세환경 내 면역억제 반응 때문이다.
이용현 교수 연구팀은 면역원성 세포사멸(ICD : Immunogenic cell death) 유도와 종양관련 골수세포(TAMCs)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약물을 발굴하고 봉입시킨 차세대 항암면역 치료기술을 개발했다. 활액과 세포외 기질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히알루론산과 황달의 원인물질인 빌리루빈이라는 내인성 물질들로 이루어진 히알루론산-빌리루빈 나노 입자를 활용했다.
이보람 기자
ram4886@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