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 2300보만 걸어도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줄어들기 시작한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마치예 바나흐 폴란드 로츠의대 교수 겸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시카론 심혈관질환 예방센터 겸임 교수팀이 최근 게재한 '유럽 예방 심장학 저널'(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에 발표한 연구 결과다. 226889명을 대상으로 한 전 세계 17건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이며, 연구 대상의 평균 연령은 64세였으며, 추적 기간은 평균 7.1년이었다.

하루에 2300보만 걸어도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줄어들기 시작한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캔서앤서DB
하루에 2300보만 걸어도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줄어들기 시작한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캔서앤서DB

연구에 따르면 걷기의 건강효과는 하루 2300보 이상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2만보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3967보 이상 걸으면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2337보 이상 걸으면 심장 및 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과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하루 걸음 수가 500~1000 보 증가할 때마다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걸음 수가 1000 보 증가하면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은 15% 감소했고, 500 보 증가하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7% 줄어들었다.

걷기의 사망 위험 감소 효과는 60세 이상보다 60세 미만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노년층은 하루 6000~1만 보 걸을 경우 사망 위험이 42% 감소했으며, 하루 7000~13000 보 걷는 60세 미만의 사망 위험은 49% 줄었다.

바나흐 교수는 "심혈관 질환 같은 특정 질환을 표적으로 한 첨단 약품이 점점 더 많이 개발되고 있지만, 심혈관 질환 위험을 줄이고 수명을 연장하는 데에는 식습관과 운동을 포함한 생활 습관 변화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관찰 연구로서 걸음 수 증가와 사망 위험의 연관성을 보여줄 뿐 인과관계를 증명하지 못한다는 점과 다른 질병이 있는 사람들이 포함되지 않은 점, 인종·사회경제적 지위 등이 고려되지 않은 점 등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