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대한비과학회
자료 대한비과학회

대한비과학회가 28일 ‘제1회 코의 날 선포식’을 개최했다. 4월 28일을 ‘코의 날’로 제정하고, 4월 마지막 주는 ‘코 건강 주간’으로 선포했다.

4월은 코 질환 발생률이 증가하는 달이다. 이 중 28일을 코의 날로 정한 이유는 매년 ‘2’회 코 건강을 위해 정기적인 내원을 하고, 코 건강을 평생 관리하자는 의미로 ‘8’을 옆으로 눕힌 무한대 기호(∞)를 담았다. 

코 질환은 재발과 악화가 빈번한 만큼 만성질환으로 자리 잡기 전 매년 두 번의 내원을 통해 정기적으로 코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이날 선포식에서 보라매병원 이비인후과 김대우 교수는 “코는 하루 약 1만L의 공기를 정화시켜 호흡을 용이하게 하며, 후각을 이용해 가스 누출과 같은 위험 상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며 “면역작용이나 발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대표적인 코 질환으로는 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비부비동염(축농증),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비중격만곡증 등이 있다. 이 중 후각 이상을 가져오는 질환은 비부비동염 등 부비동 질환이 50%를 차지할 정도로 흔하다. 하지만 증상이 코 감기와 비슷해 치료시기를 놓치기 쉽다. 만성 비부비동염 환자 10명 중 9명이 후각 소실을 경험하며 미각 이상, 우울증, 불안 등을 호소하기도 한다.

만성 비부비동염 치료는 항생제나 내시경 수술을 통해 이뤄지며, 최근에는 생물학적제제 치료를 진행하기도 한다.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도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수면장애로 학교나 직장에서 집중력이 떨어지고 일의 효율성이 낮아진다. 심하면 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기도 한다.

대한비과학회 김창훈 회장은 “팬데믹 시기를 겪는 동안 코와 후각이 우리 일상과 얼마나 밀접한 연관이 있는지, 얼마나 중요한 지에 대해 깨닫는 시간을 보냈다”며 “대한비과학회는 대국민 코 건강을 도모하기 위해 이비인후과 전문의로서 역할과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학회는 코 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는 라디오 공익광고 등을 진행 중이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