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성 비염은 감기증상과 비슷해 가볍게 넘기기 쉽지만, 증상이 지속되면 축농증이나 중이염 등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어 치료가 필요하다./게티이미지뱅크 
국내 독감 발병률은 5세미만이 가장 높고, 독감으로 인한 사망률은 80세 이상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캔서앤서 DB

세계적으로 한해에 50만명 안팎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인플루엔자(독감). 국내의 경우, 발병률은 5세 미만이 가장 높고, 사망률은 80세 이상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이혜진 교수 연구팀은 인플루엔자 연령별 사망률 등 관련 분석을 위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28일 밝혔다. 이 연구는 SCI 학술지인 ‘한국 의학회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게재됐다.  

자료 분당서울대병원
자료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에 따르면, 조사 대상은 인플루엔자 질환으로 외래에 오거나 입원한 사람이었으며, △위험도(경도-중등도-중증-사망) △연령 △성별 △기저질환 △의료급여환자 등 다양한 형태로 나눠 분석했다. 

연구 결과 지난 11년간 인플루엔자에 감염된 환자는 연도별 최소 21만 명에서 최대 303만 명으로 변동폭이 매우 컸다. 아울러 대부분 인플루엔자 환자는 경증이었으나 평균 9.7~18.9% 환자는 입원치료를 받았고 0.2~0.9% 환자는 기계 호흡 치료나 중환자실 입원치료를 받았다. 

5세 미만 인플루엔자 발병수는 10만 명당 1451.6~2만266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전체 사망자 중 67% 이상이 60세 이상 고령자였으며, 49세 이하는 사망률이 0.1%인 반면, 80세 이상에서는 1.9~2.9%까지 치솟았다. 연령 요인 외에도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성, 의료급여환자, 기저질환의 중증도 등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신종 감염병 관리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뿐만 아니라, 인플루엔자 사망률을 낮추는 백신과 항바이러스제 처방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예정이다. 

논문 1저자인 이혜진 교수는 “이전에는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인플루엔자 연구가 없어 관련 보건 정책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면서 “이번 연구로 국내 최초 연령별 인플루엔자 유병률, 중증화율, 사망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에 참여한 오명돈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감염병 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의미있는 연구”라고 했고, 이진용 교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빅데이터가 국내 현실을 반영하는 연구 분석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로서,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인플루엔자에 취약한 사람들을 더욱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인플루엔자 발병률은 5~10%(중증환자 300만~500만 명)이며, 이 중 20만~60만 명이 사망한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