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큐민 성분이 풍부한 울금이 세포를 보호하고 독성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연구팀이 결과를 미국 영양학저널인뉴트리언츠(Nutrients)’ 2023-15호에 실었다.

울금은 생강과 식물의 덩이뿌리(감자 같은 덩어리)인데, 커큐민 성분이 풍부하고 카레의 재료로 쓰인다는 점에서 뿌리줄기인 강황과 비슷하다. 울금에는 3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커큐민 몸에 좋은 성분이 많기 때문에밭에서 나는 황금으로 불린다.

카레의 재료인 울금이 간세포를 보호하고 간 독성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게티이미지 뱅크
카레의 재료인 울금이 간세포를 보호하고 간 독성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게티이미지 뱅크

한국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연구팀은 울금이 손상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피실험체() 세포를 분리해 각각 100, 200, 400μg/mL 울금을 주입했다. 이후 독성을 유발하는 아세트아미노펜을 넣어 간세포 손상을 유발했다.
결과 울금이 주입된 농도에 비례해 손상이 회복됐다. 독성 유발 급격히 감소한 시르투인1(Sirtuin1 ·노화를 억제하는 유전자) 주입된 울금 농도에 비례해 증가했다. 간에 작용하는 주요 효소이자 항산화 작용을 일으키는 헴산화효소(Heme Oxygenase-1, HO-1) 생성도 활발해졌다. 울금이 항산화 유전자 효소 발생을 활발하게 유도해 세포의 회복력을 높인 것이다.
이어 수치와 상태에 대한 실험도 진행했다. 연구팀은 피실험체를 A, B그룹으로 나눴다. A 그룹에는 일주일간 울금을 구강 투여했고 B 그룹에겐 하지 않았다. 결과, 울금의 농도가 높을수록 수치가 낮게 측정됐다. 조직 상태도 양호했다.
김현성 자생한방병원 책임연구원은이번 연구는 울금의 간세포 보호 독성 억제 효과가 시르투인1 헴산화효소의 발현을 통해 이뤄진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나아가 한약에 대한 독성 오해를 해소하는 데에도 도움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말했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