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10여년간 국내에서 발생률이 가장 높은 암은 전립선암(남성)과 유방암(여성)인 것으로 예측됐다. 또 2035년 암 진단을 받는 환자 수는 2020년의 1.8배 정도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17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과 박수경 교수팀은 ‘2020년부터 2035년까지 우리나라 20세 이상 인구의 암 발생률 및 사망률 전망’이라는 논문에서 이 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2000∼2017년 국가통계정보원의 암 사례 자료와 2000∼2018년 국립암센터(NCC)의 암 사망 자료 등을 토대로 2020∼2035년 국내 암 발생률·사망률을 예측했다.
연구에서 남성의 전립선암 발생률은 빠르게 증가하지만 사망률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측됐으며, 여성 유방암은 발생률과 사망률이 2035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에 따르면 국내 연간 신규 암 환자 발생 건수는 2020년 26만5299건에서 2035년 47만4085건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전립선암은 2000년 10만명 당 7.8명, 2020년 10만명 당 32.7명에서 2035년 10만명당 190명으로 늘어나고, 유방암은 2000년 10만명당 34명, 2020년 10만명당 48.5명에서 2035년 10만명당 238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국내 전체 암 사망자 수는 2020년 8만1717명에서 2035년 9만5845명으로, 연평균 1.2%씩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해가 지날수록 대부분의 암 사망률은 감소하지만, 여성 유방암, 췌장암, 난소암 사망률은 2035년까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유방암 발생률 증가는 평균 초경, 폐경 시작 감소, 출산율 감소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예방의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