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치료제로 효과를 보기 힘들었던 상피성장인자수용체(EGFR) 엑손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위한 새로운 대안이 등장했다. 지속반응기간이 길고 경구제 형태로 복용이 편리한 '엑스키비티'가 국내 허가를 받으면서 환자들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한국다케다제약은 1일 서울 더플라자에서 EGFR 엑손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엑스키비티(성분명 모보서티닙숙신산염)'의 출시를 기념하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한국다케다제약이 1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엑스키비티 출시의 의의를 설명했다.
한국다케다제약이 1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엑스키비티 출시의 의의를 설명했다.

EGFR 유전자 변이는 비소세포폐암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변이 중 하나다. 그러나 엑손20 삽입 변이는 국내에서는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약 2%만 진단될 정도로 드물게 나타나는 변이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안명주 교수는 "엑손20 삽입 변이가 최초로 발견된 것은 2004년이지만 최근까지 이를 타깃으로 하는 치료제가 없었다"며 "기존 EGFR TKI의 경우 치료 효과가 좋지 않아 환자들의 미충족 수요가 큰 상태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다 지난해 7월 엑스키비티가 국내 허가를 받으면서 엑손20 삽입 변이 치료의 새로운 길이 열렸다. 엑스키비티는 이전에 백금기반 화학요법으로 치료받은 적이 있는 EGFR 엑손20 삽입 변이가 있는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NSCLC) 성인 환자의 치료제로 식약처 허가를 받았다.

엑스키비티는 EGFR 엑손20 삽입 돌연변이에 비가역적으로 결합해, 암세포의 에너지원인 ATP와의 결합을 차단하는 기전으로 암세포의 성장과 확산을 억제한다.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EGFR 엑손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 11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1/2상 임상 연구에서 독립평가위원회가 평가한 객관적 반응률은 객관적반응률은 28%로 나타났다. 

투약 후 반응시간 중앙값은 1.9개월로 빠른 약효를 보였으며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24.0개월,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은 7.3개월로 나타났다. 엑스키비티의 반응지속기간 중앙값은 17.5개월로 기존 약제 대비 길게 나타났다. 

엑스키비티는 국내에서 허가받은 EGFR 엑손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 표적치료제 중 유일한 경구 치료제이기도 하다. 환자 스스로 장소와 관계 없이 복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잦은 통원과 정맥 투여로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이점이 될 수 있다.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태민 교수는 "기존 약들의 지속기간이 짧게는 8개월 길게는 1년 정도였다면 엑스키비티에 반응한 환자들의 경우 상당히 오랫동안 지속됐다"며 "먹는 약을 드시면서 2년을 더 살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엑스키비티의 복용에 있어서 부작용 관리가 중요할 전망이다. 연구 결과 엑스키비티를 투여한 환자의 부작용 발생률이 100%, 3등급 이상의 심한 부작용을 경험한 환자가 66%에 달했다. 특히 설사 이상반응을 겪은 환자가 93%, 그중 3등급 이상인 환자가 16%로 나타나 복용 시 이를 주의가 필요하다. 

김태민 교수는 "설사의 경우 대부분 복용 일주일 이내에 나타난 만큼, 첫 사이클에 환자들을 잘 관리하면 그 이후부터는 빈도가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다케다제약 문희석 대표는 "그간 치료대안이 없었고 예후도 매우 좋지 않았던 EGFR 엑손20 삽입 변이에 유일한 경구용 표적치료제인 엑스키비티를 출시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많은 주사 치료에 지친 환자들의 피로감과 고통을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