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200㎎/dL, 저밀도(LDL) 콜레스테롤 수치 130㎎/dL 이상이면 젊은층이라도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같은 심뇌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젊은 성인에서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200㎎/dL, 저밀도(LDL) 콜레스테롤 수치 130㎎/dL 이상이면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젊은 성인에서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200㎎/dL, 저밀도(LDL) 콜레스테롤 수치 130㎎/dL 이상이면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이승환 교수와 여의도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김미경 교수,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건강검진을 받은 20~39세의 당뇨병이 없는 성인 620만4153명을 대상으로 콜레스테롤 농도와 심뇌혈관질환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조사 결과, 총콜레스테롤 200mg/dL, LDL 콜레스테롤 130mg/dL, 비HDL 콜레스테롤이 140 mg/dL를 넘으면 심뇌혈관질환의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했다. 비HDL 콜레스테롤 수치는 총 콜레스테롤에서 HDL(좋은) 콜레스테롤을 뺀 값이다.

이와 함께 젊은 성인이 갖고 있는 비만이나 고혈압, 흡연 등의 위험인자 개수에 따라 그 기준이 달라졌다. 위험인자가 없을 경우에는 총 콜레스테롤 240㎎/dL‧LDL 콜레스테롤 150㎎/dL, 위험인자가 1개인 경우 총 콜레스테롤 220㎎/dL‧LDL 콜레스테롤 130㎎/dL, 위험인자가 2개 이상인 경우 총 콜레스테롤 200㎎/dL‧LDL 콜레스테롤 120㎎/dL 이상일 때 심뇌혈관질환의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IF 8.526)'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