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전 말기 간경변으로 죽음을 목전에 뒀던 40대 남성이 기적적으로 간이식 수술을 받고 일흔이 넘은 현재까지 건강한 삶을 이어오고 있어 화제다.
서울아산병원은 1992년 10월 뇌사자 간이식 수술을 받은 이상준(72)씨가 올해로 간이식 30년이 돼 국내 간이식 역사상 최장기 생존자가 됐다고 19일 밝혔다. 이씨는 지난 1991년 B형 간염이 간경변으로 악화돼 간이식이 시급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당시 이씨에게 남은 기간인 1년6개월이었다. 간이식이 유일한 치료법이었지만 당시만 해도 간이식 수술은 쉽지 않았다.
미국에서의 수술을 고민하던 이씨는 이듬해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간이식팀이 고난도 간이식 수술을 연이어 성공시킨 소식을 접했고 간이식은 수술 후 관리가 중요하다는 말을 듣고 수술을 받기로 결정했다.
1992년 10월8일 이씨는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로부터 뇌사자의 장기를 이식 받을 수 있다는 연락을 받았다. 여러 검사 끝에 다음 날 새벽 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이승규 교수가 수술을 시작했고 23시간에 걸친 수술 끝에 이씨는 새 생명을 얻을 수 있었다.
장기이식 환자에게 수술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이식 후 관리다. 이 씨는 체계적인 중환자 치료를 거쳐 건강하게 퇴원했다. 이 씨도 건강을 철저히 관리했다. 수술 후 30년간 매일 만 보 이상 걷고 금주와 금연 습관을 지켰다. 또 45일마다 병원을 방문해 B형 간염 항체 주사를 맞고 90일마다 외래에서 건강상태를 점검받고 있다.
이씨는 다른 간이식 환자들을 위해서도 앞장서왔다. 한국간이식인협회를 만들고 전문가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해 2001년 7월 B형 간염 항체 주사에 대한 보험 적용을 이끌어냈다. 치료비가 없어 수술을 받지 못하는 환자들을 위해 기금을 모아 나눔행복재단을 설립해 수십 명의 환자들에게 수술비를 지원하기도 했다.
이씨에게 간이식을 집도한 이승규 교수도 이씨의 선행에 동참했다. 치료비의 보험 적용과 장기이식 활성화를 위해 전문가로서 의견을 개진하고 나눔행복재단에 자신의 책 인세를 전액 기부하는 등 간이식 환자들을 위해 힘을 보탰다.
이씨는 “건강을 잘 유지하는 게 의료진에게 은혜를 갚는 길이고 수많은 간이식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했다"면서 "의료진의 지시대로 약 복용, 운동, 식사를 철저히 지킨 덕분에 지난 30년간 단 한 번의 이상 없이 건강하게 살 수 있었다”고 전했다.
실제로 이씨의 간이식과 회복은 다른 간 질환자들에게 희망이 돼 많은 간이식 성공으로 이어졌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장기이식센터 간이식팀은 1992년 뇌사자 간이식 수술과 1994년 생체 간이식 수술을 시작으로 지난 9월까지 생체 간이식 6666건, 뇌사자 간이식 1344건을 시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