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 혈액암인 다발골수종에 대한 빅데이터가 구축됐다. 이에 따라 다발골수종에 대한 진단과 연구 등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성모병원이 다발골수종에 대한 한국인 빅데이터를 구축했다. /게티이미지 뱅크
서울성모병원이 다발골수종에 대한 한국인 빅데이터를 구축했다. /게티이미지 뱅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최근 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와 연계해 `한국인 다발골수종 특화 데이터`를 국내 최초로 구축했다.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민창기·박성수 교수, 임상약리과 한승훈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09년부터 서울성모병원에서 다발골수종으로 진단된 1881명 환자의 데이터와 건강보험공단 공공데이터의 다발골수종 환자 3만353명 정보 중 일치하는 건강보험자료 1586건을 결합했다.

​연구팀은 이번 데이터 결합을 통해 병원이 갖고 있는 질환의 유전적 요인, 치료과정, 치료 후 재발성 경과 등 질환 데이터에 건강보험공단이 보유한 환자의 역학적 병력 등을 포함한 장기 추적자료, 사망 여부, 국가적으로 투입된 의료 비용 등을 추가해 고품질의 빅데이터를 확보했다.

이런 연구적용 사례는 다발골수종을 포함한 희귀난치암 극복 연구의 새로운 동력이 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립암센터 암정복추진기획단이 지원하는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으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