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은 건강을 해치는 주범 하나로 꼽힌다. 사람들이 비만 상태가 되지 않도록, 혹은 비만에서 벗어나기 위해 운동을 하고 온갖 식사법을 시도하는 것은 때문이다.

그런데 오해하지 않아야 있다. 비만에서 벗어난다는 정상에서 벗어나는 저체중 상태가 된다는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비만도 저체중도 건강에는 똑같이 문제가 있다. 특히 나이가 들면 저체중이 비만보다 위험하다. 이를 뒷받침하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비만은 젊은층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을 높이는 요소지만, 노년층의 경우 비만보다는 저체중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캔서앤서 DB
비만은 젊은층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을 높이는 요소지만, 노년층의 경우 비만보다는 저체중이 심혈관계 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캔서앤서 DB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형관·이현정 교수, 숭실대 한경도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9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당시 건강했던 9278433명을 상대로 체질량지수(BMI) 따른 심혈관질환(심근경색, 심부전 ) 발생 현황을 8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를 29 밝혔다.

BMI 몸무게() 키의 제곱()으로 나눈 것으로, 수치에 따라 저체중(18.5 미만), 정상체중(18.5 이상~ 23미만), 과체중(23 이상~25 미만), 비만(25 이상), 고도비만(30 이상)으로 각각 분류된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를 젊은층(20~39), 중년층(40~64), 노년층(65 이상)으로 나눠 BMI 따른 심근경색과 심부전 위험도를 각각 비교 분석했다. 결과 젊은층에서는 비만도가 높아질수록 심근경색 위험이 비례해 증가했지만, 노년층에서는 저체중일수록 위험이 커지는 특징을 보였다.
 

체질량지수(BMI)와 심근경색-심부전의 상관관계를 연령별로 나눠 비교한 자료./서울대병원 제공
체질량지수(BMI)와 심근경색-심부전의 상관관계를 연령별로 나눠 비교한 자료./서울대병원 제공

심부전도 마찬가지로 젊은층에서는 비만의 영향이 컸지만, ·노년층에서는 저체중이 위험요인으로 평가됐다. 심부전 위험이 가장 낮은 BMI 구간이 청년층에서는 정상체중이었지만, 중년층과 노년층에서는 정상체중 또는 비만 전단계일 때로 나타났다.

김형관 교수는 "연령대를 세분화해 보면 20대에서는 비만일 때만 심혈관질환 위험이 커졌지만, 70 이상의 노인의 경우 비만보다 저체중의 사망 위험 증가가 뚜렷했다" 설명했다.

이현정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로 젊은층은 평소 비만해지지 않도록 노력하고, 노인층은 근감소증으로 인한 저체중이 되지 않도록 적절한 운동과 식습관을 갖는 바람직하다" 권고했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