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암 환자의 90%, 암 생존자의 30~75%가 암 관련 피로를 겪는다고 알려졌다. 암 치료 중인 환자뿐만 아니라 암 생존자도 피로를 주의 깊게 살필 필요가 있다.
여느 때와 다른 지속적인 피로감
피로는 신체적, 정신적, 감성적으로 지친 기분이다. 암 발생 이후 또는 암 치료 중에 생기는 여느 때와 다른 지속적인 피로감은 암 관련 피로로 본다. 미국종합암네트워크(NCCN)는 암 관련 피로를 ‘암과 그 치료에 따른 피곤함과 기진맥진에 대한 주관적인 감각으로, 고통스럽고 지속적이면서 최근 활동과 무관하며 일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증상’이라고 정의한다.
암 관련 피로의 가장 큰 특징은 만성적이라는 것이다. 일반적인 피로 대부분이 휴식을 통해 회복 가능한 데 반해, 암 관련 피로는 휴식을 취해도 사라지지 않는다.
암 관련 피로를 호소하는 이들은 평소 지치거나 소외된 느낌, 활력 없음, 집중하기 힘듦, 사지가 무거움, 어떤 일을 수행할 의욕이 없음, 수면을 취할 수 없거나 너무 많은 수면을 취함, 기상 후 피곤, 슬프거나 좌절한 느낌 등이 자주 든다고 입을 모은다. 이로 인해 일상적인 활동에 지장이 있음을 물론이다.
암 관련 피로 적절한 대처법
전문가들은 암 환자나 암 생존자는 평소 암 관련 피로의 원인을 세심하게 살피고 적절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말한다.
먼저, 암성 통증으로 인한 피로인지 주의를 기울인다. 만성적인 암성 통증은 식욕과 활동수준을 떨어뜨리고 수면을 방해해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암 관련 피로로 고생하고 있다면 만성적인 암성 통증이 제대로 조절되고 있는지 의료진과 상의한다.
항암 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로 인한 피로일 수도 있다. 항암 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가 피로를 가중시킨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항암 화학요법은 치료를 받은 이후 며칠간 가장 심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줄어든다. 방사선 치료의 경우 보통 2~3주째 피로가 시작되며, 방사선 치료가 끝나고 1~2개월 지나면 서서히 사라진다고 알려졌다.
수면 부족으로 인한 피로도 있다. 암 환자 중 밤에 잠들기 힘들거나 깊은 잠을 못 자고 자주 깨는 사람이 이에 해당한다. 이 경우 의료진과 상의해 수면을 취하는 데 필요한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암 관련 피로는 빈혈 때문에 나타나기도 한다. 빈혈이 있으면 몸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충분한 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고, 이것이 피로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자리한다. 빈혈이 있다면 의료진과 상의해 철분제나 엽산보충제 등을 복용하거나 다른 의학적인 조치를 받는다.
갑상선 기능 저하로 인한 피로도 있다. 특히 두경부 종양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 갑상선 기능이 떨어져 만성적인 피로를 호소할 수 있다. 이때는 의료진과 상의해 적절한 혈액검사를 받기 권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