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60세 이상에서 전립선암 환자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9월 셋째주 '전립선암 인식주간'을 맞아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전립선암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15일 발표했다.
국내 전립선암 진료인원은 지난 2017년 7만7077명에서 2021년 11만2088명으로 3만5011명(45.4%)이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은 9.8%였다. 연령별로는 전립선암 환자의 94.8%(5만8404명)가 60대 이상이었다. 전체 진료인원(11만2088명) 중 70대가 42.7%(4만7819명)로 가장 많았고, 80세 이상이 26.2%(2만9369명), 60대가 25.9%(2만9035명)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의학과 김영식 교수는 전립선 환자가 증가한 이유에 대해 “고령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서구적 식생활 문화로의 변화, 전립선특이항원(PSA)을 포함한 진단기술 발달, 사회-경제적 여건의 개선 및 건강에 대한 지식과 관심이 증가하면서 전립선 환자도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전립선암의 경우 암이 생겨도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암이 어느정도 진행되면 각종 배뇨 증상(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잔뇨감이 드는 등)이 나타나고, 혈뇨가 보이거나 소변을 자주 보는 등 평소와 다른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배뇨 습관에 변화가 생기거나 불편함이 느껴지면 검진을 받을 것을 권한다. 전립선암은 전립선특이항원(PSA)이라는 간단한 혈액검사로 조기진단이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