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다가 순간적으로 '컥' 하면서 호흡이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을 장기간 앓는 경우 뇌 손상이 유발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윤창호 교수팀은 장기간의 수면무호흡증이 성인의 뇌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장기간/대규모 추적관찰을 통해 수면무호흡증이 성인 뇌 구조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연구를 시행했다. 

수면무호흡증을 장기간 앓으면 시각 기억과 관련된 뇌 손상이 생긴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수면무호흡증을 장기간 앓으면 시각 기억과 관련된 뇌 손상이 생긴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이에 연구팀은 성인 1110명을 ▲정상군(1, 2차 음성) ▲호전군(1차 양성, 2차 음성) ▲발생군(1차 음성, 2차 양성) ▲지속군(1, 2차 양성)으로 분류해, 1차(2011년~2014년)와 2차(2015년~2018년) 등 4년 간격으로 뇌-자기공명영상(뇌-MRI)와 신경인지검사 결과를 비교 및 분석했다.

그 결과, 수면무호흡증 발생군에서는 집중력과 시각정보처리 기능과 관련 뇌 영역에서 손상을 확인했다. 반면 수면무호흡증 호전군에는 손상된 시각기억 경로의 회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수면무호흡증 지속군에서는 시각기억과 관련된 뇌 손상이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60세 이상과 남성에게서 더욱 잘 드러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 최초 대규모 인구를 대상으로 장기간 관찰함으로써 수면무호흡이 뇌기능과 뇌백질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낸 점에서 높은 학술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수면무호흡증을 조기 발견 및 치료 방안 정책을 수립하는 데 뒷받침이 될 전망이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학회인 ‘미국의학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하는 ‘JAMA Network Open’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