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몸병이라고 불리는 치주 질환을 앓는 사람은 암에 걸릴 위험이 13%나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잇몸병을 앓는 이들은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암 발생 위험이 13%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잇몸병을 앓는 이들은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암 발생 위험이 13%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김한상 교수·연세대 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정인경 교수·연세대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김백일 교수 연구팀은 국가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총 71만여 명(치주 질환 환자 5만여 명·치주 질환이 없는 66만여 명)을 대상으로 10년간 암 발생률을 비교·분석한 결과, 치주질환을 앓고 있으면 암 발생 위험이 13% 증가한다고 24일 밝혔다.

특히 전체 암종 중 면역체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혈액암은 치주 질환을 앓는 이들은 치주질환이 없는 사람에 비해 39.4%가 더 높게 관찰됐다. 또 방광암, 갑상선암 발생 위험도 각각 30.7%, 19.1% 높게 나타났다. 대장암(12.9%), 폐암(12.7%), 위암(13.6%)도 치주질환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치주 질환은 입속의 세균이 증가하면서 발생한 치태가 독성을 유발해 잇몸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치태를 빨리 제거하지 못하면 서서히 딱딱한 치석으로 변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치주 질환이 있을 경우 혈류에 인터류킨(interleukin), 티엔에프 알파(TNF-alpha) 같은 염증성 인자가 증가해 전신 염증성 질환인 심장 질환, 암과 같은 만성 질환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런티어스 인 온콜로지(Frontiers In Oncology)’ 최신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