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년기 여성에게 흔히 나타나는 안면홍조 등 갱년기 증상은 술을 마실 때 더 심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 unsplash
갱년기 여성에게 흔히 나타나는 안면홍조 등 갱년기 증상은 술을 마실 때 더 심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 unsplash

얼굴이 달아오르는 안면홍조는 중년여성의 흔한 갱년기 증상. 폐경 전 음주를 많이 할수록 중년 여성의 열성홍조나 야간 발한의 조기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류승호ㆍ장유수 교수, 권리아 박사(왼쪽부터).
류승호ㆍ장유수 교수, 권리아 박사(왼쪽부터).

19일 강북삼성병원 데이터관리센터 류승호·장유수 교수, 권리아 박사 연구팀에 따르면 평생 금주자에 비해 음주량이 증가할수록 중증도 혈관운동 증상 유병 및 조기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 연구팀은 지난 2014~2018년 사이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를 방문한 42~52세 폐경 전 갱년기 여성 2394명 대상으로 5년간 추적 분석을 실시했다. 음주 행태에 따라 △평생 금주자 △과거 음주자 △하루 10g 미만의 음주자 △하루 10~19g의 음주자 △하루 20~39g 음주자 △하루 40g 이상 음주자로 분류했다. 하루 알코올 섭취량 10g은 알코올 함량 25%의 소주를 보통 크기의 소주잔 1잔에 마시는 정도다. 

갱년기 증상 중 혈관운동 증상인 안면홍조 및 야간발한은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했으며, 1점부터 7점까지 척도 중 3점 이상의 괴로움을 느끼는 경우 중등도 이상의 혈관운동 증상이 있다고 정의했다. 그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는 다양한 음주습관(주중 음주 횟수, 회당 음주량, 폭음 빈도)으로 확인한 결과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류승호 데이터관리센터 교수는 “많은 선행 연구에서는 단순히 평균 알코올 소비량에 따라 음주 행태를 정의해 과거에 음주이력이 있었던 사람들이 비음주군에 포함되어 오히려 가벼운 음주를 하는 사람들이 더 건강한 결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며 이번 연구의 차별점을 밝혔다.

장유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금주가 폐경 전 여성에서의 혈관운동 증상을 조기 발병 예방에 도움이 될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음주가 갱년기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확한 원인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선행연구들에서 알코올이 에스트로겐 및 다른 호르몬에 영향을 미치며 난소 부피 감소와도 연관성이 보고된 바 있어 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에서 갱년기 여성 만성질환 위험요인 규명을 위한 전향적 연구 사업일환으로 지원받아 수행됐으며, 국제 전문 학술지 ‘뉴트리언트(Nutrients)’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