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와 폭염이 번갈아 기승을 부리고 있다. 기상청은 당분간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하루 최고 체감온도가 31℃ 이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보하면서 질병관리청은 무더위로 인한 온열질환 발생에 주의하라고 당부했다. 서울은 최고기온 33℃가 며칠 이어지는 것으로 예보돼 있다.
올해 5월부터 한 달 간 운영된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에 따르면 이 기간 온열질환자는 206명 발생해 전년 동기 대비 74.6% 증가했다. 폭염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면서 온열질환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열사병, 열탈진이 대표적. 더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 증상을 보이고, 방치 시에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다.
▲온열질환 예방법 = 질병청이 2017년~2021년 '온열질환 응금실감시체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기간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추정사망자 99명을 포함해 총 1만395명이었다. 연평균 2079명 발생한 것이다. 온열질환자는 주로 야외, 그 중 실외 작업장(31.5%)과 논밭(13.5%)에서 활동 중 증상이 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48.3%는 낮 12시에서 오후 5시 사이에 발생했다.
질병청은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는 건강수칙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 자주 마시기,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등 건강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우선 폭염 때에는 갈증을 느끼기 전부터 규칙적으로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폭염 주의보·경보가 발령되면 위험시간대인 낮 12시~오후 5시 동안 활동을 줄여야 한다. 불가피한 경우에는 챙 넓은 모자,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하면 온열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어지러움이나 두통, 메스꺼움 등 온열질환 초기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활동을 멈추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한다. 심혈관질환, 당뇨병, 뇌졸중 등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은 더위로 인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무더위에는 활동 강도를 평소보다 낮추는 것이 좋다.
▲고온다습 때 운동법 = 장마철 무더위가 겹치면 땀이 많이 흐르기 때문에 운동효과가 크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습도가 높아 땀이 증발하지 않고 피부를 타고 흐르기 때문이므로, 땀이 너무 많이 흐를 때는 운동을 멈추고 쉬면서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폭염이 예보되어 있는 경우, 야외활동이나 운동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럴 때 유용한 것이 헬스클럽 등 실내운동시설. 수영, 실내자전거, 러닝머신 등을 통해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고, 그동안 소홀히 했던 근력 강화 훈련을 하기에 가장 적당한 시기다.
전문가들이 권하는 운동법은 △심폐지구력(유산소운동) △근력 및 근지구력 △유연성 그리고 △신체조성(신체의 근육량이나 지방량, 그리고 체수분량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 주는 지표) 등 네 가지 체력요소를 잘 분배하는 것. 간단히 이야기 하면 유산소운동에 근력운동(웨이트 트레이닝)을 조합하면 효율적인 운동효과를 볼 수 있다.
실내운동은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으로 구성한다. 건강증진을 위한 적절한 운동시간은 20분에서 60분이며, 유산소운동은 일주일에 3~5일, 근력운동은 2~3일 정도 규칙적으로 해야 한다. 근력강화를 위한 운동으로는 헬스클럽에서 주로 사용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장비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집에서도 간단히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다. 팔굽혀 펴기, 앉았다 일어서기, 벽 밀기 등과 같이 자신의 신체를 이용해 하는 방법을 활용하면 자칫 몸 상하기 쉬운 장마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