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이 암과 관련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비만을 수술로라도 치료하면 암 발생률이 떨어진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 unsplash
비만이 암과 관련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비만을 수술로라도 치료하면 암 발생률이 떨어진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 unsplash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 수술로 살을 빼더라도 암 발생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클리닉과 오하이오 주립대 등 연구진이 2004~2017년 미 건강보험 자료를 분석해, 비만대사 수술을 받고 체중이 감소하면 암 발병과 암으로 인한 사망이 줄어드는지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수술 후 몸무게를 상당량 줄이고 났더니 암 발병은 32%, 암으로 사망은 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대사 수술’은 약물 등 내과적인 방법으로 치료할 수 없는 고도비만 환자나 비만으로 인한 여러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해 위를 일부 잘라내거나 위에서 소장으로 우회로를 만드는 수술법들이다. 당뇨, 고혈압 등에도 치료 효과가 뛰어나 ‘비만대사 수술’이라 불리고 있다. 이 연구 내용은 지난 3일(현지 시각) 미국당뇨병학회(ADA) 제82차 과학세션에서 처음 공개됐고 '미국의사협회(JAMA) 네트워크 오픈'에 실렸다. 

비만을 치료하는 수술을 받아도 암 발생 위험과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JAMA Network Open'.
비만을 치료하는 수술을 받아도 암 발생 위험과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JAMA Network Open'.

이번 연구는 암 환자 중 비만인 사람이 많다는 관찰에서 출발해 '비만'을 해소하기 위해서 수술까지 받아가며 살을 뺀 사람들이 그 이후 정말 암 발병률과 사망률이 낮아졌는지 알아본 것이다. 

연구진은 체질량지수(BMI·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 35 이상 초고도비만 성인 3만318명을 조사했다. BMI가 35를 넘으면 키 170㎝ 기준 몸무게 100㎏ 이상이다. 이 중 비만대사 수술을 받은 5053명과 수술을 받지 않은 2만5265명을 나눠 추적했다. 수술을 받은 사람은 10년간 평균 27.5kg, 수술을 받지 않은 사람은 2.7kg 감량했다.

해당 조사 기간에 암은 비만 수술군에선 96명, 비(非)수술군에선 780명 발생했다. 1000인년(1000명당 1000년 관찰했을 때 추산)당 수술군은 3건, 비수술군은 4.6건이었다. 암 누적 발생률은 10년간 수술군은 2.9%, 비수술군은 4.9%였다. 암 누적 사망률은 수술군 0.8%, 비수술군 1.4%로 암으로 사망할 위험이 절반 가까이 줄었다. 자궁내막암은 발생 위험이 53% 감소했다.

연구팀은 "비만인 성인들 중 비만대사 수술을 받으면 수술을 받지 않은 사람들보다 '비만 관련 암'과 '암 관련 사망률'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비율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연구의 의미를 설명했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