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세포에게 에너지를 주는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암을 치료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유자형 교수 연구팀은 암 세포 미토콘드리아 안에서 암세포 에너지원(ATP)와 결합해 거대 자기조립체(분자 덩어리)를 만들어내는 항암 유도 물질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세포 에너지원인 ATP는 미토콘드리아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ATP가 부족하거나 미토콘드리아가 망가지면 대사 장애가 일어나 세포가 죽는다. 특히 빠르게 증식하는 암세포는 ATP 농도가 더 높다. 연구팀은 이 점에 주목, 고농도 ATP와 결합해 분자 덩어리를 만들 수 있는 항암 유도 물질을 개발한 것.
연구팀이 개발한 물질을 투입하면 암세포가 거대 분자 덩어리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암 세포 에너지원인 ATP가 소진돼 성장이 멈추게 된다. 실제 연구팀이 암세포를 이용한 실험 결과, 암세포 성장이 정상 세포보다 느려짐을 확인했다.
또 수백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인 분자 덩어리가 크기가 비슷한 미토콘드리아 막을 물리적으로 훼손해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방식으로 암세포의 성장까지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케미컬 사이언스'(Chemical Science)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이보람 기자
ram4886@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