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렷한 원인을 찾기 어려운 자가면역질환인 궤양상 대장암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에 생긴 만성 염증으로 인해 설사와 혈변이 잦은 게 특징이다.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고성준 교수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국내 궤양성 대장염 환자 수는 2008년 9657명에서 2018년 4만6837명으로 10년 새 4.85배로 증가했다. 고 교수는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2021년 기준으로 환자 수가 이미 6만명을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했다.
궤양성 대장염은 확실한 원인을 찾지 못해 맞춤형 치료약이 없다. 생명과 직결되지는 않지만 악화되면 대장암으로 이어질 수 있고 삶의 질이 극도로 낮아진다.고 교수는 "염증이 퍼진 범위와 중증도는 환자마다 다르다"면서 "주로 20~30대에게 많이 발병했지만, 최근에는 60세 이상 고령층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환자가 급증하는 것은 환경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고 교수는 추정했다. 육식을 많이 하거나 ‘단짠 음식’을 즐기는 식습관, 항생제·소염진통제 등의 빈번한 사용이 장내 세균을 변화시켜 질병 발생을 촉진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 4주 이상의 설사 ▲ 혈변과 점액을 동반한 대변 ▲ 설사가 있으면서 가족 중 염증성 장질환 환자가 있는 경우 궤양성 대장염을 의심하고 대장 내시경을 받아보라고 전문가들은 권고한다.
고 교수는 "궤양성 대장염은 유병 기간이 길수록 대장암 위험도 함께 증가하므로 증상이 없어도 꼭 치료받아야 한다"면서 "임상 경험으로 볼 때 30년간 이 질환이 있는 경우 대장암 발병률은 9.5%로 높아진다"고 말했다.
궤양성 대장염으로 진단받은 후에는 꾸준히 약물로 치료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다. 또 장내 세균 분포를 변화시키거나 세균이 장벽으로 침투하는 투과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항생제나 소염진통제의 장기적인 사용은 피해야 한다.
고 교수는 "궤양성 대장염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뚜렷한 음식은 없다"면서 "다만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는 염분과 당분이 많은 음식을 피하고, 소·돼지와 같은 육류보다는 생선 등으로 단백질을 섭취하는 게 좋다"고 권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