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9일은 세계소화기학회(WGO, World Gastroenterology Organisation)가 제정한 ‘세계 장 건강의 날(World Digestive Health Day)’이다. 올해 '장 건강의 날'은 대장암 예방을 위한 행동을 중심으로 각종 행사가 진행된다.
장은 음식물을 소화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장기 기관으로, 우리 몸 속 면역 세포의 약 70%가 분포되어 있어 면역력을 조절하고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최근 한국인들의 장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패스트푸드로 대표되는 건강에 좋지 않은 식생활과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이 원인.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등과 같은 염증성 장 질환 환자가 2019년 7만324명으로 5년 사이에 약 33%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요즘같이 일교차가 큰 날씨에는 온도 변화에 민감한 장이 자극받아 세균과 바이러스에 취약해지기 쉬워 더욱 유의해야 한다.
장 건강을 위해서는 건강한 식습관과 건강한 운동습관이 필요하다.
▶건강한 식습관 = 속이 항상 더부룩하고 소화가 안 되거나 장이 민감하다면 밀가루, 지방, 단백질이 과다 함유된 식품 섭취량을 줄여야 한다. 소화기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식이섬유소가 풍부한 과일, 채소 등 자연 그대로의 천연식품에 눈길을 돌려보는 것도 좋다.
면역력을 길러주는 동시에 장에 좋은 대표적인 음식은 키위, 당근, 블루베리, 무 등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 과일들이다. 장 속에 있는 각종 나쁜 성분들을 몸밖으로 내보내는데 도움이 되는 장청소가 이뤄진다.
탄수화물을 지나치게 먹는 것은 장 건강에 좋지 않은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육식을 지나치게 많이 해 미처 소화가 다 되지 않은 상태가 거듭되는 것도 좋지 않다. 간헐적 단식처럼, 뱃속이 꽉 차있는 상태를 해소해 주는 식습관도 장 건강에 도움을 준다.
▶건강한 운동습관 = 장을 비워주는 에너지 소모도 필요하지만, 장을 활성화하는 운동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건강한 장을 위한 운동습관이다. 장에 활력을 부여해주는 율동이 가능한 운동은 달리기처럼 뛰어오르는 동작이 포함된 운동과 수영처럼 수평으로 눕는 동작이 포함된 운동이다.
이처럼 장의 기본상태를 흔들어 주는 운동들은, 굳어있고 꽉 차있는 장을 활성화시키면서 가만히 있을 때에도 혈류가 원활히 진행되면서 소화가 활발해지고, 장내 환경이 좋아지게 해준다.
복근운동처럼 복부를 직접 자극하는 운동도 당연히 장 건강에 도움이 된다. 윗몸일으키기, 요가의 허리 들었다 놓았다 하는 동작들, 허리를 뒤트는 맨손체조의 동작 등 모두 장에 좋은 운동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