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에게는 화창하고 설레는 봄이지만, 다른 이에게는 우울한 날들의 연속일 수 있다. 봄만 되면 유독 외롭고 우울하게 느껴진다면 ‘계절성 우울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피로감, 무력감 등 춘곤증과 비슷한 증상 보여
사람이면 누구나 계절이나 날씨 등에 따른 기분 변화를 겪는다. 하지만 특정 시기에 우울감이 지속적으로 생긴다면 단순한 기분 변화가 아닌 계절성 우울증일 수 있다.
계절 변화에 따른 계절성 우울증은 우울장애의 10%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일조량이 줄어드는 가을에 흔히 나타난다고 알려졌으며, 봄에도 적잖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사람들은 완연한 봄인데도 불구하고 코로나19로 밖을 마음껏 돌아다니지 못하면서 우울감이 더 커진다고 호소한다.
계절성 우울증은 춘곤증과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봄에 기온이 올라가면 뭉쳤던 근육이 풀어지고 신진대사가 활발해져 필요 에너지양이 늘어나는데, 이때 급격한 신체 변화로 졸음과 피로감, 무력감 등이 생긴다. 호르몬의 변화가 생기면서 감정 기복이 잦아지는 등 정신적인 문제도 발생한다. 계절성 우울증이 있는 사람 역시 이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계절성 우울증이 있는 사람은 일반적인 우울증이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분이 우울하고, 삶의 의욕이 없어 아무것도 하기 싫다고 말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우울증과 다른 증상도 나타난다. 일반적인 우울증이 있을 때 불면증과 식욕저하가 발생하는 것과 달리 계절성 우울증이 있으면 평소보다 잠을 많이 자는 과다 수면이 나타나고, 식욕이 왕성해져 탄수화물 섭취가 늘어나면서 살이 찌게 된다.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병원 찾아야
계절성 우울증이 의심된다면 시간 날 때마다 햇빛을 받으며 산책하기 권한다. 산책하러 밖으로 나가는 것 자체만으로 답답한 마음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햇빛을 많이 받으면 체내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 합성에 관여하는 비타민D가 늘어나면서 기분 전환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건강 먹을거리를 섭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평소 식탁에 고등어, 연어, 올리브유 등을 자주 올리자. 이 식품들에는 세로토닌 분비를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해 계절성 우울증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울러 커피 등 고용량 카페인 음료는 신체와 신경계를 예민하게 만들어 우울감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주의한다.
계절성 우울증에 좀 더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싶다면 운동 등 적절한 신체 활동을 하는 방법이 있다. 전문가들은 계절성 우울증이 있는 사람이 조깅과 자전거 타기, 수영 같은 유산소 운동을 하는 등 적절한 신체 활동을 하면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말한다.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울감이 심해지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정신건강의학과를 찾아 전문가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전문가에게 자신의 상황을 솔직하게 털어놓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