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을 죽이는 면역세포인 T세포의 능력를 극대화시킨 맞춤형 T세포 'CAR-T(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가 혈액암 뿐 아니라 고형암에도 잘 들을 수 있는 방법을 해외 연구진이 찾아냈다.
CAR-T세포는 환자 본인에게서 분리한 T세포에 특정 유전자를 삽입, 암 종양의 특정 부위를 찾아내 파괴하도록 설계한 개인 맞춤형 T세포다. 종양학의 지형을 바꿀 만큼 혁명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백혈병, 림프종 같은 혈액암 외에 육종이나 상피암 같은 고형암에서는 별 효과를 보지 못했다. 펜실베이니아 의대의 후아 시안신 암 생물학과 교수팀은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고 새 치료법을 찾는 연구 결과를 최근 '네이처 캔서(Nature Cancer)'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위장관 간질 종양(GICs)과 신경내분비 종양(NETs)에 모두 발현하는 특정 항원(CDH17)을 찾아냈다. 생쥐 모델에 실험한 결과, 이 종양 항원을 표적으로 삼는 CAR-T세포는 고형암 종양도 공격해 제거했다.
그런데 같은 항원이 나타나는 소장, 대장 등의 정상 세포엔 전혀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종양에 있을 땐 CAR-T세포의 표적이 되고 정상 세포에선 CAR-T세포로부터 격리되는, 전에 보지 못했던 종양 관련 항원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걸 포착한 것이다.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28일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연구팀은 라마에서 분리한 나노 항체를 검사하다가 CDH17 항원을 발견했다. 주로 장(腸)에서 발현되는 이 항원을 표적으로 삼게 설계한 CAR-T세포를 생쥐에 투여하면 위, 췌장, 대장 등의 종양이 제거됐다.
CDH17 항원은 암이 생기지 않은 장 상피세포에도 발현했지만, CAR-T세포는 이런 정상세포를 공격하지 못했다. 종양의 CDH17 항원을 겨냥한 CAR-T세포도 건강한 장 조직에는 결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장 상피세포의 단단한 밀착 접합이 CAR-T세포의 공격을 피하는 '가면 효과(masking effect)'를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구팀은 "CDH17 표적 CAR-T세포는 고형암 환자에게 특히 적합한 치료법일 수 있다"면서 "지금까지 관심을 끌지 못했던 종양 관련 항원을 표적으로 하는 CAR-T 치료법 연구가 활발해질 것 같다"고 연구의 의미를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