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비염은 환절기에 더욱 기승을 부리는 질환이다./게티이미지뱅크
알레르기비염은 환절기에 더욱 기승을 부리는 질환이다./게티이미지뱅크

알레르기 비염 환자들은 코앞으로 다가온 봄이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환절기만 되면 알레르기비염 증상이 더욱 심해져 재채기와 콧물, 코막힘 등으로 고생하기 때문이다. 환절기에 더욱 심해지는 알레르기비염 대처법을 알아봤다.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

알레르기 비염은 코점막이 특정 물질에 과민반응을 나타내면서 재채기와 맑은 콧물, 코막힘, 가려움증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눈 주위가 가렵거나 눈이 충혈되고, 두통, 후각 감퇴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알레르기 비염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해 발행한다. 그중 가장 큰 요인은 나이와 가족력으로 알려졌다.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75% 정도가 25세 이전에 증상이 시작된다. 또한 부모 중 한 명이 알레르기 질환을 갖고 있으면 자녀가 알레르기 질환에 걸릴 가능성은 50% 정도이고, 부모 두 명이 알레르기 질환을 갖고 있으면 자녀가 알레르기 질환에 걸릴 확률은 75% 정도로 증가한다고 한다.

알레르기 비염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인 ‘알레르겐’도 중요한 요인이다. 알레르겐은 집먼지진드기와 꽃가루, 곰팡이, 애완동물의 털 등 호흡기를 통해 흡입되는 것이 대표적이다. 음식물이나 식품첨가제, 약물 등에 의해서도 알레르기 비염이 유발될 수 있다. 지나치게 깨끗한 환경도 알레르기 비염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졌다.

알레르겐 최대한 피하고, 약물요법으로 치료

병원에서 알레르기 비염으로 진단받으면 미루지 말고 적절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알레르기 비염의 치료는 환경요법과 약물요법, 면역요법으로 이뤄진다.

환경요법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원인 물질인 알레르겐을 피하는 것이다. 알레르기비염 치료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사항이라고 본다. 알레르기 비염의 알레르겐은 집먼지진드기, 곰팡이, 꽃가루, 애완동물의 털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알레르기 비염을 악화시키는 요소에는 온도 변화, 공기오염, 감기, 담배 연기, 스트레스 등이 있다.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일상생활 속에서 알레르겐과 알레르기 비염 악화요소를 없애거나 피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현실적으로 알레르겐을 완전히 제거하거나 피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평소 알레르겐과 악화요소를 최대한 피할 수 있게 노력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한다.

환경요법과 더불어 약물 치료로 증상을 조절하면 알레르기 비염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약물요법 중 현재까지 효과가 가장 뛰어나다고 알려진 것은 스테로이드다. 스테로이드는 알레르기 비염 증상을 조절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데, 특히 비강 분사 스테로이드가 많이 사용된다. 알레르기 비염 증상 가운데 재채기와 콧물을 완화시키는 항히스타민제, 코막힘에 효과적인 충혈제거제 등도 도움이 된다.

알레르기 비염의 또 다른 치료법은 면역요법이다. 면역요법은 알레르겐을 환자에게 투여해 면역 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없애는 것이다. 알레르기비염의 원인이 확실하고, 환경요법으로 치료가 어렵거나 약물치료로 증상조절이 충분하지 않을 때 시행한다. 일반적으로 1년 이상 지속해야 효과가 나타난다고 알려졌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