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 그런데 암 진단을 받고도 술을 계속 마시는 사람들이 많으며, 음주량은 소득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의 한 연구결과, 국내 암 생존자 4명 중 1명 이상이 폭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폭음을 자제하지 못했다.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심재용 교수팀이 2016∼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1만1388명을 대상으로 폭음·과음 등 고위험 음주와 사회·경제적 요인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이 23일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이 연구에서 암환자의 27.2%가 폭음, 5.3%가 과음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암환자 3명 중 1명이 과음ㆍ폭음을 하고 있는 셈이다. 암에 걸리지 않은 사람의 폭음과 과음 비율은 각각 53.9%·10.5%였다. 하루 평균 알코올 섭취량은 암진단군에서 4.8±0.6g, 비진단군에서 9.0±0.2g으로 암진단군에서 절반 수준으로 적었다.
20대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암 진단군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적게 술을 마시는 것은 맞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이 폭음을 하고 있고, 음주습관이 생활소득 수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힌 연구라고 논문은 설명했다.
또한 연구팀은 "이는 암 진단을 받은 후에도 절반은 고위험 음주를 지속한다는 의미"이며 "음주가 암 발생 위험을 높이고 생존율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널리 알려졌다"고 지적했다. 특히 구강·인두·식도·간·췌장·유방·대장·폐·전립선·신경계·피부 등에 생기는 암은 알코올과 연관성이 밝혀져 있다.
이 연구에서 폭음은 한 달에 적어도 1번 이상 한 자리에서 남성이 술을 7잔(또는 맥주 5캔), 여성이 5잔(또는 맥주 3캔) 이상 마시는 것을 의미한다. 과음은 하루 평균 알코올 섭취량이 남성 30g 이상, 여성 20g 이상인 경우다.
암환자 중 특히 술을 끊지 못하는 사람은 저소득층이었다. 저소득층의 암 진단 후 폭음 비율은 고소득층보다 2.2배, 과음 비율은 3.5배 높았다.
암에 걸리지 않은 성인에선 직업이 있는 사람의 폭음 가능성이 무직자의 1.7배(과음 가능성 1.5배)였다. 도시에 사는 사람이 폭음할 가능성은 농촌 거주 주민 대비 1.5배,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이 과음할 가능성은 1.4배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