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환자 중 기저질환을 많이 앓으면서 소득이 적고 비수도권에 거주할수록 지역사회에서 치매 질환을 관리받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치매학회 빅데이터 연구팀은 최근 ‘치매환자 5년 지역사회관리율: 치매정책 제안지표’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02년도부터 2018년도까지 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통해 매년 새로 등록된 치매 상병자수를 파악, 치매 진단 시점에서부터 지역 사회에서 치매 관리를 받는 기간을 조사했다.
분석 대상은 54만9297명으로, 환자가 사망하거나 요양병원-요양원에 3개월 이상 입원 또는 입소하는 경우를 지역사회 치매 환자 관리 종료 시점으로 계산해 5년간 지역 사회에서 관리되고 있는 치매 환자 비율을 살폈다.
그 결과 2003년부터 새로 치매 진단을 받은 이들을 15년 추적 관찰한 결과, 평균 지역사회 관리 기간은 5.98년으로 분석됐다. 시설에 입소하지 않고 지역사회에서 치매 관리를 받고 있는 비율은 소득이 적은 경우,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경우, 기저 질환이 많은 경우 뚜렷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치매 환자가 치매 진단을 받은 초기에는 개인 및 친인척, 주간보호센터 등의 지역사회에서 약물 치료와 인지중재치료 등의 관리를 받는다. 이후 증상이 악화되거나 합병증이 생기면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에 입원 또는 입소하게 되는데 치매 환자가 가정이나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다가 요양시설에 입소할 경우 급격하게 관리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 치매 정책의 방향성은 치매 환자들의 지역사회 거주 지원 방안 마련에 많은 관심과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제4차 치매관리종합계획 사전 연구과정에서 논의됐으며 중앙치매센터와 협력하여 보건복지부 치매정책과와 국민건강보험공단 협조하에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진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