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유방암 진단과 수술 등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유방암 진단율과 함께 수술 건수가 감소한 반면, 진행된 상태에서 유방암을 진단받는 이들은 증가한 것.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유방외과 강영준 교수팀은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6개 병원의 18세 이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따른 유방암 관련 통계 조사를 실시했다.

폐경 전 술을 매일 마시면 유방암 발병 위험이 높다./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로 인해 유방암 진단건수가 크게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게티이미지뱅크

연구팀은 코로나19 환자수가 급증하던 2020년 2~4월과 다소 안정화돼 가던 5~7월, 두 그룹으로 나눠 유방암 선별검사와 진단받은 환자수, 수술건수 등을 2019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다. 그 결과, 코로나19 영향이 없던 2019년 2월부터 7월까지 새롭게 진단된 유방암 환자수는 1669명인 반면 2020년 같은 기간에는 1369명으로 9.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유방검진(유방촬영 또는 유방초음파검사) 건수 역시 27.4% 줄었다. 연구팀은 2020년 2~4월의 경우 전년 대비 41%나 급감했으며 특히 5~7월에 비해 50~60대 고령층에서 감소 폭이 크게 나타났다고 전했다. 수술 건수 역시 2~4월 2019년 480건에서 2020년 438건으로, 5~7월에도 각각 522건, 503건으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연구진은 2019년과 2020년의 임상적 병기(clinical stage)를 비교했다. 그 결과 2~4월 유방암의 병기(stage)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검사와 진단의 감소가 시작되고 3개월이 지난 5~7월에는 차이를 보였다. 5월에서 7월까지 유방암 2기(ⅡB)를 진단받은 환자는 2019년 같은 기간 13.2%에서 2020년 17.01%로, 4기(Ⅳ)는 2019년 4.5%, 2020년 5.6%로 코로나19 이후 보다 진행된 유방암 환자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65세를 기준으로 그룹을 나눠 추가 분석한 결과 5~7월 65세 미만의 유방암 환자에서만 임상적 병기의 차이가 유의한 것을 확인했다. 코로나19 대유행 초기 상대적으로 고령층에서 검사를 받은 비율이 더 줄었음에도 유방암의 병기 이동(stage migration)은 젊은 층에서 두드러지게 보였다. 

유방암은 초기 증상이 적다. 그렇다보니 검사를 통해 알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검사를 미루게 되면 그만큼 유방암을 늦게 발견하고 치료를 지연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관련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Breast Cancer'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캔서앤서(cancer answe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