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내시경 검사주기 중간에 발생하는 중간대장암(PCCRC) 위험이 2형 당뇨병환자에서 높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오르후스대학 프레데리케 트로엘센 박사 연구팀은 자국의 환자등록데이터로 검토한 결과,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첫번째 검사 후 PCCRC 발생 위험이 44% 높았다고 영국의학회지(BMJ Open Gastroenterology)에 발표했다.
PCCRC란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이상이 없었지만 실시한지 6~36개월 후에 진단된 대장암이다. PCCRC는 전체 대장암의 약 8%를 차지하며, 대부분은 첫번째 대장내시경에서 발견되지 않았거나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대장병변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대한대장항문학회에 따르면 첫 대장내시경 검진에서 위험이 높지않은 용종이 발견되면 5년마다 한 번씩 검사를 권고한다. 단 용종이 3개 이상 발견됐거나 1cm 이상 크면 3년 마다 검진을 받도록 하고 있다.
트로엘센 박사에 따르면 2형 당뇨병 환자에서는 소화관 운동기능장애로 대장내시경검사 전 장속 세정이 부실해 전암병변을 놓치거나 PCCRC 위험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번 분석 대상은 대장내시경을 받은 2형 당뇨병환자 2만9000여명. 대장내시경 후 6~36개월간 이들의 PCCRC 발생위험과 PCCRC의 3년 생존율을 2형당뇨병이 없는 33만3000여명과 비교했다. PCCRC 발생수는 당뇨병군 160명, 대조군은 1009명이었다.
분석 결과, PCCRC 누적 발생률은 당뇨병군에서 높았다(0.64% 대 0.36%). 성별, 검사 당시 연령과 시기, 동반질환 등을 감안해 조정하자 당뇨병군의 위험비는 첫번째 내시경검사 후 1.44, 두번째 검사 후에는 1.18 이었다. PCCRC 3년 생존율은 양쪽군 비슷했다(7.9% 대 7.4%).
연구팀은 "2형 당뇨가 대장암 발생을 높일 수 있다"고 결론지으면서, 용종을 놓쳤거나, 절제가 부실한 경우 반복검사를 통해 대장암 발병을 줄일 수 있다고 권고했다.
